[한국방송/이두환기자] 패스트트랙 정국 이후 국회정상화를 위한 여야의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국회파행의 책임을 서로에게 넘기며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25일 더불어민주당은 자유한국당을 향해 추가경정예산과 민생개혁입법 처리를 위해 조건 없이 국회로 돌아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선거법·공수처법 패스트트랙 원천무효화 및 사과, 경제정책, 북핵 및 외교 안보정책의 전면재검토 등을 주장하고 있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 현안브리핑에서 “국회와 민생을 버리고, 공당으로서의 책임도 방기하고 뛰쳐나간 한국당이 3주간에 걸친 장외투쟁을 오늘 마무리한다”면서 “한국당 장외집회는 황교안 대표만 있고 ‘민생’과 ‘국회’는 눈곱만큼도 없다. ‘정쟁유발투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지적했다.
또 “황 대표는 대선주자 이미지를 각인하고, 보수 지지층은 결집시켰을지 모르겠으나 민생을 외면한 명분 없는 장외투쟁이 국민에게 남긴 것은 분열과 상처뿐”이라면서 “황 대표는 대권놀이와 정쟁유발투어를 즉각 중단하고 추경과 민생개혁입법 처리를 위해 조건 없이 국회로 돌아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선거법·공수처법 패스트트랙 원천무효화 및 사과, 경제 및 외교 안보 정책의 재검토를 요구하며 “이것이 국회를 정상화시키는 유일한 길이자 빠른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생은 파탄 났고, 패스트트랙은 반민주 의회폭거로 점철됐다. 집권여당과 들러리 야당의 사과도 없었다”면서 “청와대와 민주당은 말로는 민생 운운하며 추경타령이지만 재해추경에 선심성 총선용 추경을 뒤섞어 피해주민들을 볼모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국회정상화가 가능하겠는가”고 했다.
바른미래당과 정의당은 자유한국당의 조건없는 등원을 요구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한국당은 18일간의 ‘민심대장정'도 하고, 6차에 걸친 주말 장외집회도 진행했다. 문재인 저부를 규탄할 만큼 한 것”이라면서 “장외로 나간 한국당이 조건 없는 등원의 현명한 선택을 하길 바란다. 민생이 뒷전인 야당을 국민들은 결코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도 한국당을 향해 “황 대표의 대선 예비행보에 들러리로 나설 때가 아니라 민생을 살리는, 국민을 위한 들러리 역할을 해야 한다. 이유를 불문하고 조속히 국회로 들어와야 할 것”이라면서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철회와 사과를 요구했는데, 말도 안 되는 요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