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김국현기자] 정의당 류호정 의원은 8 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IT 업계 노동 관행과 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사항에 대해 질문했다 . 류호정 의원은 “ 게임 업계는 프로젝트팀을 폭파하면서 당일 권고사직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납니다 ” 라며 , 최근 불거진 ‘ 데브시스터즈 사태 ’ 을 지적했다 .
류호정 의원은 IT· 게임업계 노동자 출신으로 , ‘ 쿨링오프 ( 사직철회기간제도 ) 시스템 ’ 도입을 주요 골자로 하는 「 부당권고사직방지법 」 을 발의했으며 , 국회의원 당선 직후 ‘ 펄어비스 ’ 의 피해노동자들과의 공동행동으로 체불임금을 청산했던 이력이 있다 .
류 의원은 “ 최근 IT· 게임 기업들은 사용자 책임 회피를 위해 구조조정을 겸한 ‘ 자회사 분할 ’ 까지 시행한다 ” 라고 지적했다 . 류 의원은 “ 핑계는 많지만 그냥 ‘ 간접고용 ’ 만 늘어나는 꼴 ” 이라며 , 노란봉투법상의 노조법 2 조 개정을 바탕으로 한 ‘ 판교 IT· 게임 기업 통합교섭 모델 ’ 의 검토가 필요하다 “ 라고 제안했다 .
이어 류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노동개혁안의 일부인 ‘ 장시간 노동 복귀 ’ 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 지난해 12 월 미래노동시장연구회가 발표한 권고사항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현재 주 최대 52 시간으로 제한된 연장노동 관리 단위를 월 , 분기 , 반기 , 연으로 확대해 관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
류 의원은 ”2023 년 대한민국 노동자들은 나와 내 가족을 위해 일합니다 .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이나 , 부국강병을 위해 하는 게 아닙니다 .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고 , 그런 거 좋아할 사람 없습니다 “ 라며 , ” 지금은 더 많이 일하게 할 때가 아니라 , 일한 만큼 받고 , 받은 만큼 일하게 할 때 “ 라고 지적했다 . 이에 대해 이정식 장관은 ” 다양한 고용관계를 고려하여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령의 전면 정비가 필요하다 . 제안에 대해 노사 주체적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모델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고민하겠다 “ 라는 취지로 답변했다 .
한편 경향신문이 지난 1 월 1 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 윤석열 정부의 연장근로시간 단위 확대 방침에 대해 50 대 이하 응답자의 60% 이상이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정부질문 시각자료 별도 첨부 .
류호정 보도자료 채널 링크: https://bit.ly/34vS0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