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10.6℃
  • 흐림강릉 9.5℃
  • 맑음서울 12.0℃
  • 흐림대전 15.1℃
  • 구름많음대구 14.6℃
  • 구름많음울산 12.2℃
  • 박무광주 15.9℃
  • 구름조금부산 13.8℃
  • 흐림고창 11.7℃
  • 구름많음제주 13.5℃
  • 맑음강화 12.5℃
  • 흐림보은 14.6℃
  • 흐림금산 16.2℃
  • 구름많음강진군 15.0℃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4.7℃
기상청 제공

알림

정읍시․임실군 양시군 합의에 의해 추진된 옥정호 수면이용 관련 용역 결과 발표

◈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됨
◈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및 취수안정화에 대한 다양한 방안 제시

[전북/이두환기자] 옥정호 갈등해결을 위해 전라북도가 정읍시‧임실군과 함께  추진한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가 발표되었다. 

 

옥정호 수면이용 계획에 대한 조사와, 수면이용으로 인한 오염부하량 및 수질을 예측한 결과

   

오염부하량(BOD)은 무동력 이용 시 0.005% 증가, 동력 이용 시 0.08% 증가되어, 실제 옥정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고

   

수질예측결과 ‘무동력선 및 동력선 이용 시 수질은 영향이 없음’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옥정호 상류에서 오염원이 유입될 경우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읍시(추령천)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칠보발전취수구에 영향을 주나,
  
임실군(섬진강 상류)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하류부로 확산되어 운암취수구에 미미하게 영향을 주는 반면, 수계(물의 흐름)가 다른 칠보발전취수구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을 위한 타당성 조사 결과에서는 도내 취수원을 활용한 다각적인 용수 공급에 대해 검토, 용담댐에서 정수 또는 원수를 공급하는 3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1안은 고산정수장(용담댐)에서 생산된 정수를 송수관로로 연결(목천대교~태인면사무소, 38㎞)하여 각 가정에 공급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섬진강 광역상수도의 취수원인 옥정호의 수질사고를 대비하고 전라북도권 광역상수도의 상수도시설 안정화를 위하여 전주권, 섬진강권 및 부안권 광역상수도를 연결하는 비상연계관로를 설치하는 방안으로

   

전주권 광역상수도 분기점인 김제분기점에서 섬진강 광역상수도를 연결하는 태인분기점까지의 수리검토를 시행한 결과 복선화관로 관경은 부안댐 광역상수도 분기전까지 D1,200mm, 이후 태인 분기점까지 D1,000mm로 계획하였으며, 수두차를 고려하여 가압시설을 설치하는 것으로 제시됨

 

2안 역시 고산정수장(용담댐)에서 생산된 정수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삼례만경강교~태인면사무소, 35㎞를 연결하여 각 가정에 정수를 공급하는 방안이다.

   

전주권 광역상수도 삼례교차로 인근에서 송수관로를 분기하여 섬진강댐 광역상수도의 급수체계를 전주권 광역상수도로 전환하는 방안으로

   

금회 송수관로의 분기점은 정읍시와의 최단거리를 고려하여 전주권 광역상수도 금구분기점 인근의 D1800mm에서 분기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광역상수도 배분계획(안)의 배분량을 기초로 전주권 광역상수도 송수관로 수리검토를 시행한 결과 분기관로는 D1,000mm로 지형여건을 고려하여 대율저수지 인근에 가압시설을 설치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3안의 경우 용담댐에서 직접 원수를 취수하여 도수관로 63㎞를 통해 산성정수장으로 원수를 보내, 산성정수장에서 정수처리한 후 각 가정에 공급하는 방안이다.


이와 함께 지난 2015년 가뭄 시 칠보발전취수구에서 취수가 불가했던 사례와 관련 상시 취수가 가능한 취수 안정화 방안에 대한 조사결과도 제시되었다.
    
1안은 칠보발전소 미가동시 보조취수시설을 설치하여 산성정수장에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취수탑 1개 신설, 도수관로 1.8㎞를 설치하는 방안이고


2안은 취수탑과 도수터널을 신설, 옥정호에서 산성정수장에 직접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취수탑 1개, 도수터널 6㎞와 도수관로 3㎞를 설치하는 방안이며


3안은 칠보발전소 발전용수를 일시 저류하여 산성정수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저류시설 80,000㎥, 도수관로 1.5㎞를 설치하는 방안이다.


전라북도는 취수원 다변화 등 상수도시설 안정화를 지향하는 환경부 정책과 도내 광역상수도 복선화 계획 등과 연계하는 방안 등에 대한 분석 중이며


지역간의 갈등을 원천 해결하고 광역상수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국수자원공사, 환경부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최적안을 도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1. 옥정호 수면이용 관련 용역 추진 결과

 용역개요

□ 추진경위
  ○ 옥정호 상수원보호구역 지정(‘99.8.12), 재조정 요구 민원(’05~‘12), 
     국민권익위원회 옥정호 상수원보호구역 재조정 권고(‘12.8.20)
  ○ 옥정호 상수원보호구역 재조정* 용역(‘13.5~’15.7)
    * (당초) 21.913㎢(정읍 5.936, 임실 15.975) → (변경)  3.864㎢(정읍 3.864)
  ○ 옥정호 수역 시·군 상생협력 선언(‘15.5.26, 도, 정읍·임실·순창)
     * 상수원보호구역 재조정 결정 및 수면이용과 수변개발시 상호 협의 등
  ○ 수면이용에 대한 상반된 입장차이로 개발사업 지연 및 갈등 발생에 따라 양 시·군 합의*(‘16.11.24)
     * 수변개발은 즉시 추진하되, 수면이용은 민관협의체 구성·논의 및 영향조사 등 용역추진

□ 용역개요
  ○ 용 역 명 :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 도 급 액 : 268,058,210원(낙찰율 89.4%)
  ○ 용역기간 : ‘18. 1. 31 ~ ’19. 4. 12         


구 분

1.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2.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계 약 자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

곽동희(51%)

국성건설엔지니어링

박동우(49%)

계약금액

130,323,820(부가세 공제)

137,734,390

  ※ 전문가 자문 및 착수보고회(‘18.3.8), 중간보고회(9.5), 민관협의체 운영(7회),
     관계기관 협의를 위해 과업 일시중지(‘19.1.9~3.21) 및 재착수(3.22)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 옥정호 수면이용 계획
 ○ (위    치) 임실군 운암면 운종리 135-16 / 2020~2022(64억원)
 ○ (사업내용) 수상레저센터 1,200㎡, 장비보관 창고 200㎡, 계류시설 500㎡, 주차장 2,000㎡ 등(무동력 카누, 카약 30기, 수상자전거 20대 등)
      ※ 연간 이용객 27,560명, 1일 최대 309명 추정(국내 수상레저기구 이용객 비율 3% 적용)

□ 옥정호 수면이용 시 오염부하량 및 수질예측 결과
 ○ (오염부하량) 오염부하량(BOD)은 무동력 이용 시 0.005% 증가, 동력 이용 시 0.08% 증가되어, 실제 옥정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

구 분

BOD(kg/)

T-P(kg/)

2025

수면이용

합 계

증감(%)

2025

수면이용

합 계

증감(%)

무동력

5,276.2

0.260

5,276.46

0.005

389.551

0.044

389.595

0.01

동력선

5,276.2

4.08

5,280.28

0.08

389.551

0.08

389.631

0.02


 ○ (수질예측) 무동력선 및 동력선 이용 시 수질은 영향 없음

옥정호

평 균

옥정호 1(강진면)

옥정호 2(산내면)

옥정호 3(운암면)

TOC

(mg/)

T-P

(mg/)

TOC

(mg/)

T-P

(mg/)

TOC

(mg/)

T-P

(mg/)

TOC

(mg/)

T-P

(mg/)

2025

2.0

0.012

2.0

0.012

1.9

0.012

2.2

0.011

무동력선

2.0

0.012

2.0

0.012

1.9

0.012

2.2

0.011

동력선

2.0

0.012

2.0

0.012

1.9

0.012

2.2

0.011


 ○ (칠보취수구 영향) 모델링 결과 임실군 유역에서 발생한 오염원이 하류부 운암취수구에 미미한 영향, 칠보발전취수구는 수계가 달라 영향 없음

□ 수질관리 방안
 ○ 환경기초시설 설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설치, 수질오염 행위 제한
 ○ 지류하천 수질관리(통합 집중형 오염하천 개선, 지류총량제 도입 등)
 ○ 비점오염원 관리대책(가축분뇨 처리시설 확충, 농업비점 삭감 다양화)
 ○ 옥정호 유역관리 주민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선박오염사고 대응체계 마련(사고단계별 활동계획 수립 등)


참고 1

 옥정호 상류 오염원 유입 시 수질영향분석

○ 정읍시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칠보발전취수구에 영향

○ 임실군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하류부로 확산되어 운암취수구에 미미하게 영향이 있으나, 칠보발전취수구에는 영향 없음(수계가 다름)


< 오염원 유입 현황 >

∘ 임실군 : 섬진강 본류(상류)
        → 옥정호(하류)

∘ 정읍시 : 추령천(상류)
        → 옥정호(하류)





정읍시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추령천으로 유입되어 점진적으로 칠보발전취수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임실군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섬진강 본류로 유입되어
운암취구수에 미미하게
영향을 주나,

칠보발전취수구는 수계가 달라 영향이 전혀 없음





Ⅲ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 용담댐 물 공급 방안
 ○ 용담댐에서 정수 공급(1·2안) 또는 원수 공급(3안)

1(정수공급)

송수관로 38(목천대교 태인면사무소) 1,204억원

2(정수공급)

송수관로 35(삼례만경강교 태인면사무소) 956억원

3(원수공급)

도수관로 63(용담댐 산성정수장) 1,685억원


 ○ (급수체계) 3가지 변경안


□ 취수 안정화 방안

1(취수탑 신설)

칠보발전소 미가동시 보조취수시설 설치 산성정수장 원수공급

- 취수탑 1개 신설, 도수관로 D1000, 1.8, 232억원

2(도수터널 설치)

취수탑과 도수터널을 신설, 옥정호에서 정수장에 원수 직접 공급

- 취수탑 1, 도수터널 D1000, 6, 도수관로 3.0, 949억원

3(저류지 설치)

칠보발전소 발전용수를 일시 저류하여 산성정수장에 공급

- 저류시설 80,000, 도수관로 D1000, 1.5, 429억원


  
2017년 (평년)
2015년 (가뭄)


참고 1

 옥정호 관련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계획


□ 용역개요
  ○ 용 역 명 :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등 2건
  ○ 계약금액 : 268백만원 / 계약방법 : 공동계약(분담)
  ○ 계약기간 : ‘18. 1. 31 ~ ’19. 4. 12        * 일시 중지(‘19.1.9 ~ 3.21)

구 분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계 약 자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

국성건설엔지니어링

계약금액

130,323,820

137,734,390

과업내용

- 수질·오염원 조사, 수질영향 예측평가, 수질관리 방안 제시 등

-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및

불가시 수질관리 대안 제시 등


□ 보고회 개요
  ○ 일시/장소 : ‘19. 3. 27(수), 15:30~17:30 / 전북대 공대 8호관(203호)
   - 당일 14시 제7차 민관협의체 운영
  ○ 참석대상 : 20여명(자문위원, 도 및 시․군 관계자, 용역 수행자)
  ○ 주요내용 : 과업 추진상황 및 용역결과 보고, 전문가 자문 등

□ 진행순서

시 간

내 용

비 고

15:3015:32

‘2

개 회

팀장

15:3215:35

‘3

참석자 소개

15:3515:40

‘5

인사말씀

국장·물환경관리과장

15:4016:10

‘30

수면이용 조사 용역 최종보고

- 과업내용, 추진상황, 용역결과

김현수 교수

(책임연구원)

16:1016:35

‘25

전문가 자문 및 시군 의견수렴

 

16:35~17:05

‘30

급수체계 타당성 용역 최종보고

- 과업내용, 추진상황, 용역결과

문상연 전무

(책임연구원)

17:0517:25

‘20

전문가 자문 및 시군 의견수렴

 

17:2517:30

‘5

폐 회

팀장


붙임

 용역 자문위원
  ○ 17명 (수질영향조사 11명, 급수체계 6명)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11)

구분

소 속

직 위

성 명

비 고

(7)

전북대학교

교수

박 영 기

 

전북대학교

교수

조 민

 

전주대학교

교수

김 영 규

임실군 추천

전주대학교

교수

최 용 욱

 

한국물관리정책연구소

소장

황 대 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한 대 호

 

전북연구원

연구원

장 남 정

 

(4)

정읍지사(수공)

차장

한 상 일

 

섬진강지사(수공)

대리

권 혁 진

 

한수원섬진강발전소

차장

김 윤 중

 

한국농어촌공사(전북)

차장

임 현 석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6)

(5)

전북대학교

교 수

박 영 기

 

전북대학교

교 수

조 민

 

군산대학교

교 수

정 병 곤

 

원광대학교

교 수

최 혁 순

 

전주대학교

교 수

유 규 선

 

유관기관

금영섬권역본부(수공)

차 장

황 현 식

 


참고 2

 민관협의체 구성‧운영

□ 양 단체장의 합의문(‘16.11.24)에 따라 구성
 ○ 도 2명, 정읍시 4명, 임실군 4명씩 추천을 받아 10명으로 구성
   - 공무원 5명(당연직 3명 포함), 민간대표 5명(도1, 정읍2, 임실2)
□ 민관협의체 기능
 ○ 용역 수행 전반에 대한 자문 및 협의체 결정 사항 의결

□ 민관협의체 운영실적 ⇒ 7회 운영 (‘17년 3회, ’18년 3회, ‘19년 1회)

일시장소

주요내용

참석인원

1

(‘17.7.21,

도청 소회의실)

위원장 선출(김택천)

민관협의체 운영 계획 확정

용역의 범위 등 논의

8

(2,정읍2,

임실4)

2

(‘17.8.29,

도청 소회의실)

용역 추진 방식 결정(일괄발주)

과업의 범위 확정

민관협의체 의결 방식 수정(과반수 출석, 출석위원 과반수 찬성)

9

(2,정읍3,임실4)

3

(‘17.11.27,

도청 소회의실)

용역 관련 추진사항 설명

- 과업지시서 전문가 자문 및 시군 의견 수렴 반영

과업지시서 지역 주민 의견 재 수렴

6

(2,정읍1,임실3)

4

(‘18.3.8,

전북대)

용역 계약 체결 사항 설명

용역 착수계획 보고

도원천 수질조사 등은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용역에 포함하여 추진하고, 국내외 사례 조사 확대 의견 수렴

7

(2,정읍1,임실4)

5

(‘18.9.5,

전북대)

4차 민관협의체 운영 결과 및 그간 운영실적 보고

용역 착수보고회 결과 설명

용역 중간보고 내용에 대한 의견 수렴

정읍시 협의체 위원 전원 참석(2, 민간대표 2)

8

(2,정읍4,임실2)

6

(‘18.12.27,

전북연구원)

5차 민관협의체 운영 결과 및 그간 운영실적 보고

용역 중간보고회·간담회 이후 주요 의견수렴 결과 설명

용역 추진사항 보고

수면이용 선진사례 조사 결과 설명, 양 시군 상생발전 방안 논의

9

(1,정읍4,임실4)

7

(‘19.3.27,

전북대)

6차 민관협의체 운영 결과 및 그간 운영실적 보고

용역 최종보고회 내용 설명 및 의견 수렴

9

(1,정읍4,임실4)


2. 용역 추진 세부내역

□ 용역개요
  ○ 용 역 명 :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 도 급 액 : 268,058,210원(낙찰율 89.4%)
  ○ 용역기간 : ‘18. 1. 31 ~ ’19. 4. 12

구 분

1.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2.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계 약 자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

곽동희(51%)

국성건설엔지니어링

박동우(49%)

계약금액

130,323,820(부가세 공제)

137,734,390

주 요

과업내용

옥정호 유역 개발계획 현황조사

옥정호 수면이용 계획 조사

개발 및 수면이용 계획에 따른

배출부하량 증가 검토

수질모델링 구축

- 수면이용 방법(동력, 무동력) 및 수위변동

선박사고 등 다양한 시나리오별 결과 제시

수면이용 및 갈등사례 조사

수질관리 방안 검토

용수 수급전망 및 급수체계 변경,

대체수원 확보 방안 검토

- 용담댐에서 정수 및 원수 공급

대안별 사업량, 사업비, 노선 조사 및

및 최적 방안 제시

급수체계 조정 불가시 대안 검토

- 취수탑 신설, 도수터널 설치 또는

저류지 설치 방안 등

도원천 수질관리 방안 검토


□ 추진사항
  ○ 전문가 자문 및 착수보고회(‘18. 3. 8) : 전문가, 정읍․임실, 유관기관
  ○ 착수보고회 의견에 대한 조치 등 용역 추진사항 점검 회의 2회(도, 정읍․임실, 용역사)
  ○ 옥정호 수면 및 수변개발 사업 계획 자료 조사 및 영향 분석
  ○ 민관협의체(6회, ’17.7.21~‘18.12.27) 및 용역 중간 보고회(‘18. 9. 5)
  ○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용역 일시정지(‘19. 1. 9)
     - 정지사유 : 급수체계 변경 최종안 선정 및 관계기관 협의기간 부족
     - 정지기간 : 협의 완료시까지
  ○ 용역 일시정지 해제 및 계약기간 변경(‘19. 3. 22)     * 당초 ’19.1.30까지
  ○ 민관협의체(7회, ‘19. 3.27) 및 용역 최종 보고회(‘19. 3. 27)


참고 1  

 옥정호 용역 최종보고서 요약


□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

구 분

주 요 내 용

옥정호 유역 개발

계획 현황

- 태양광발전사업 등 79개 사업 진행 중

- 주로 태양광발전사업, 하천정비, 도로확포장사업 등

- 오염물질 유발 대규모사업개발은 없음

(임실군 33, 진안군 25, 순창군 7, 정읍시 14)

옥정호 수면이용계획

- 사업기간 : 2020~ 2022(3), 부지면적 : 5,000

- 사업내용 : 수상레저센터 1,200, 장비보관 창고 200,

계류시설 500, 주차장 2,000

- 도입시설 : 무동력 수상레저기구(카누·카약 30, 셔틀바이크 20개 등)

- 관광객 추정 : 연간 27,560, 최대 309/(옥정호 관광객의 3%)

개발 및 수면이용계획에 따른 배출부하량 증감검토

< 개발계획에 따른 배출부하량>

- 2025년 옥정호 유역 배출 부하량 대비

: BOD 0.57%, T-P 0.28% 증가 예상

< 수면이용계획에 따른 배출부하량>

- 임실군 배출부하량 BOD 0.26/, T-P 0.044/일 증가 예상

- 2025년 대비 BOD 0.005%, T-P 0.01% 증가 예상

구절초 축제(10월중 15) 배출부하량

방문객수 : 800,000대상면적 : 100,000

배출부하량 : BOD 4/, T-P 0.16/

구절초 축제 1일 배출부하량의 BOD 6.5%, T-P 28% 수준

수질모델링 구축 및

수질결과 예측

- 유역모델(HSPF)에 호소특성을 반영한 최적모델(EFDC) 선정하여 수질모델 구축

- 다양한 시나리오별 장래 수질결과 예측 : 수면이용계획(동력선무동력선)은 호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

수면이용 및 갈등사례 조사

- 국내 및 국외 수면이용 및 유도선 운영 사례 조사

- 국내 수면이용사례 선진지 답사, 갈등사례 조사

수질관리 방안 검토

대체 수상레저 도입, 지류 총량제 실시, 비점오염원 관리

거버넌스 구축 및 활성화, 선박오염사고 대응체계 마련 등


□ 정읍시 급수체계 변경 타당성 검토

구 분

주 요 내 용

용수 수급전망

(광역상수도 배분) 금강남부권 광역 상수도(700천톤)

급수체계 조정하여 정읍 60천톤, 부안 21.6천톤 배분

- 전주시(250.2241.8, 8.4), 익산시(105.345.3, 60) 정읍시

- 완주군(6947.4, 21.6) 부안군

* 근 익산시에서 지방상수도의 광역상수도 전환을 검토 중으로, 근본적인 대책으로 고산정수장 증설이 국가계획에 반영 되도록 환경부에 요청 예정

급수체계 변경

검토

< 3가지 방안 제시 및 안별 비교 >

1(정수공급) 송수관로 38(목천대교 태인면사무소) 1,204억원

2(정수공급) 송수관로 35(삼례 만경강교 태인면사무소) 956억원

3(원수공급) 도수관로 63(용담댐 산성정수장) 1,685억원

취수 안정화 방안

검토

< 3가지 방안 제시 및 안별 비교 >

1(취수탑 신설) 칠보발전소 미가동시 보조취수시설 설치

산성정수장 원수공급

- 취수탑 1개 신설, 도수관로 D1000, 1.8, 232억원

2(도수터널 설치) 취수탑과 도수터널을 신설, 옥정호4 에서 정수장에 원수 직접 공급

- 취수탑 1, 도수터널 D1000, 6, 도수관로 3.0, 949억원

3(저류지 설치) 칠보발전소 발전용수를 일시 저류하여

산성정수장에 공급

- 저류시설 80,000, 도수관로 D1000, 1.5, 429억원

도원천 수질관리 방안 검토

- 수질 모니터링 강화

- 하수 처리구역 확대

지도점검 강화(무허가 시설 및 가축분뇨 배출시설 등)

- 상수원 지킴이 활동 강화


참고 2

 용역 보고회 등 개최
□ 용역보고회 3회

구 분

일시장소

주요내용

참석인원

착수보고회

‘18. 3. 8,

전북대

용역 착수 계획에 대한 자문

12

(,시군,

자문위원)

중간보고회

’18. 9. 5,

전북대

용역 중간보고 자문

20

(,시군,

자문위원)

최종보고회

’19. 3. 27,

전북대

용역 최종보고 자문

20

(,시군,

자문위원)


중간점검 및 간담회

구 분

일시장소

주요내용

참석인원

중간점검 및 간담회

‘18. 10. 23,

전북대

중간보고회 의견수렴 결과

반영 계획 등 논의

11

(,시군,

용역사)

중간점검 및 간담회

’18. 12. 4,

전북대

중간점검 회의

14

(,시군,

용역사)

’18. 12. 4,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