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뉴스/최동민기자) 2016년 1억불 이상 수출 품목 중 수출 증가율 1위 품목은 카메라
모듈(‘16년 109% 증가)가 차지했으며, 기타 화장품(마스크팩 등), 전기용 용접기, 연괴, 백판지, 비행기,
평판디스플레이장비부품, 메이크업·기초화장품 등이 2016년 수출 감소에도 불구 40% 이상 급증
< 2016년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
2016년 수출은 5.9% 감소했으나, 13대 주력품목외 기타품목 0.7% 증가
2016년 기준 수출이 급증한 호조품목*도 13대 주력품목 10개, 13대 품목외 기타품목 20개로 기타 품목에서 수출 급증 품목이 많았음
* 기준 : ‘16년 기준 수출증가율 상위 30개 품목 (’15-’16년 연간 수출 1억불 이상)
30개 수출 호조품목은 ‘16년 36.1% 증가율 기록, 분기별 지속적으로 성장
* 총 수출(증감률) : ’16년 1Q(△13.7%) 2Q(△6.7%) 3Q(△5.0%) 4Q(1.8%)
호조품목(증감률) : ’16년 1Q(32.6%) 2Q(40.5%) 3Q(39.7%) 4Q(32.3%)
< 2016년 30개 수출 호조품목 (MTI 6단위 기준) >
수출증가율 | 13대 주력품목(10개) | 기타 품목(20개) |
50∼100% | 카메라모듈(109%), 전기용용접기(92%) | 기타화장품(100%), 연괴(51%) |
30∼50% | 기타프린터(35%), 스테인리스 및 합금강선재(33%), 기타컴퓨터부품(32%) | 백판지(49%), 비행기(44%), 평판DP장비부품(41%), 메이크업·기초화장품(41%), 고압자동제어반(36%), 구강치과위생용품(35%), 자동제어기(33%), 무기류(33%) |
20∼30% | 기타기계요소(베어링부품 등 26%), 온수보일러(26%), OLED(24%), 프로필렌(23%), 기타가전(22%) | 항공기엔진(29.8%), 판유리(29.5%), 두발용제품(26%), 금(26%), 면류(24%), 로얄제리(23%), X선방사선기기부품(22%), 분석시험기부품(22%), 기타사진영화용재료(21.4%), 전자계측기(21.4%) |
특히, 카메라 모듈․기타화장품․전기용 용접기는 전년대비 두 배에 가까운 성장을 기록했고, ‘17년 1분기에도 높은 증가율을 유지
* ‘16년 수출증가율 : 카메라모듈(109%), 기타화장품(100%), 전기용용접기(92%)
상위 3개 품목을 포함하여 수출 호조품목의 1/3*은 ‘15년에도 수출증가율 상위 30대 품목에 속한 바, 상승세를 지속
*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등 3개 품목 외, ④메이크업·기초화장품, ⑤구강및치과위생용품, ⑥기타프린터, ⑦판유리, ⑧두발용제품, ⑨OLED, ⑩기타사진영화용재료
< 13대 주력품목 중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
2016년 13대 주력 품목은 7.7% 감소로 컴퓨터(8.5%)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 연간 수출 감소하였으나,
주력 품목 중 MCP(반도체), SSD(컴퓨터), OLED(평판DP) 등 고부가 가치 품목 수출이 증가했고, 카메라
모듈, 기타프린터, 온수보일러, 기타가전(마사지기기 등) 품목이 20% 이상 증가하여 수출 감소세를
완화
(단위 : %, ’16년 수출증감률)
13대 주력품목 | 호조품목 | 13대 주력품목 | 호조품목 |
반도체(1.1↓) | ·MCP(33.1↑) | 디스플레이(15.5↓) | ·OLED(24.1↑) |
컴퓨터(8.5↑) | ·SSD(8.3↑) ·기타프린터(34.6↑) | 일반기계(2.9↓) | ·전기용용접기(91.8↑) ·온수보일러(26↑) ·다이아몬드공구(3.1↑) |
석유화학(4.3↓) | ·ABS(2.8↓) | 무선통신기기(9.0↓) | ·카메라모듈(108.8↑) |
철강제품(5.5↓) | ·자동차용아연도강판(4.0↑) | 가전(11.6↓) | ·기타가전(22.4↑) |
◇ 주력품목 중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고사양화
ㅇ (반도체) ‘16년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체 수출이 1.1% 감소했으나 MCP 수출은 스마트폰 탑재 용량증가로 33.1% 증가
* MCP 수출(백만불) : (’15)11,720(18.7%↑)→(’16)15,598(33.1%↑)→(’17.1Q)4,041(40.8%↑)
ㅇ (컴퓨터) 스토리지 시장에서 HDD→SSD 전환 가속 및 대중화 등 글로벌 수요 증가에 따른 SSD 품목 수출 증가(8.3%↑) 영향으로 13대 품목중 유일하게 수출 증가
* SSD 수출(백만불) : (’15)3,502(26.6%↑)→(’16)3,794(8.3%↑)→(’17.1Q)1,053(40.0%↑)
기타프린터는 휴대용 포토프린터(모바일, POS용 등) 수요 증가와 對EU 수출 증가(‘16년 63% 증가)로
컴퓨터 수출증가에 기
* 기타프린터 수출(백만불) : (’15)120(41%↑)→(’16)162(34.6%↑)→(’17.1Q)47(59%↑)
ㅇ (평판DP) LCD 가격 하락에 따라 15.5% 감소했으나, OLED는 스마트폰 OLED 채용과 OLED TV 시장 확대에 따라 2년 연속 20%이상 증가
* OLED 수출(백만불) : (’15)5,528(29%↑)→(’16)6,861(24%↑)→(’17.1Q)1,929(35%↑)
ㅇ (철강제품) 철강재 단가 하락, 수입규제 등으로 5.5% 감소하였으나, 자동차용 아연도강판 품목은 자동차 업체의 고강도 자동차강판 수요 지속 증가, 경쟁국 대비 품질·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중국, 멕시코, 일본向 수출 증대
자동차용 아연도강판 수출(백만불/%) : (’15) 2,161 (15.8%↓) → (’16) 2,248 (4.0%↑) →(’17.1Q) 667 (24.8%↑)
ㅇ (석유화학) 유가하락에 따라 4.3% 감소했으나, ABS는 고급가전(프리미엄 TV 등) 소재와 자동차 내장재로 활용되어 ‘16년 수출이 소폭 감소(2.8%↓), ‘17년 1분기 증가 전환
* ABS 수출(백만불) : (’15)2,134(16.6%↓)→(’16)2,073(2.8%↓)→(’17.1Q)633(27%↑)
◇ 부품·소재 등 수출 품목 다변화, 틈새시장 개척 주력품목
ㅇ (일반기계) 글로벌 투자 부진의 영향으로 2.9% 감소하였으나, 전기용 용접기(91.8%↑), 온수보일러(26%↑), 다이아몬드공구(3.1%↑) 등의 수출이 증가하여 전체 감소세 완화
전기용용접기는 연관산업(디스플레이, 전자, 통신(광섬유 연결 등))의 수요 증가로 對中(’16년 111% 증가) 및 對아세안(187% 증가) 수출 증가
* 전기용용접기 수출(백만불) : (’15)210(30%↑)→(’16)404(91.8%↑)→(’17.1Q)126(35%↑)
온수보일러는 세계 각국의 에너지효율 및 NOx(질소산화물) 규제 강화 등에 따른 고효율 친환경 보일러 시장 성장세에 따라 증
* 온수보일러 수출(백만불) : (’15)129(13%↓)→(’16)162(26%↑)→(’17.1Q)21(11%↑)
다이아몬드공구는 산업용(반도체웨이퍼절단), 건설석재용(대리석 절단) 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 증가
* 다이아몬드공구 수출(백만불) : (’15)258(3.3%↑)→(’16)266(3.1%↑)→(’17.1Q)70(18%↑)
ㅇ (무선통신기기) 갤럭시 노트 사고 등으로 9% 감소했으나, 카메라모듈은 모바일용 카메라 고성능화와 글로벌 세트업체 납품 확대 등에 따라 수출 증가
* 카메라모듈 수출(백만불) : (’15)1,247(189%↑)→(’16)2,603(109%↑)→(’17.1Q)796(117%↑)
ㅇ (가전) 해외 생산 확대로 11.6% 감소했으나, 기타가전은 미용기기·마사지기기 등 소형 생활가전이 틈새시장을 개척하여 22% 수출 증가
* ‘16년 수출(백만불) : (미용기기) 47(7%↑), (마사지기기)36(38%↑)
* 기타가전 수출(백만불) : (’15)185(1%↑)→(’16)227(22%↑)→(’17.1Q)55(8%↑)
< 기타품목 중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
2016년 기타품목은 0.7% 증가로 총수출 감소폭(5.9%) 완화에 기여
ㅇ 기타 품목 중에서는 기타화장품, 메이크업·기초화장품, 두발용 제품), 연괴, 백판지), 평판디스플레이장비부품, 자동제어기( X선 및 방사선기기 부품 등 품목이 20% 이상 증가
(단위 : %, ’16년 수출증감률)
기타품목 | 호조품목 | 기타품목 | 호조품목 |
비철금속(4.3↓) | ·연괴(50.6↑) | 기타 | ·백판지(48.9↑) ·평판DP장비부품(41.1↑) ·항공기엔진(29.8↑) ·X선 및 방사선기기부품(22.1↑) |
화장품(43.1↑) | ·기타화장품(99.8↑) ·메이크업·기초화장품(40.9↑) ·두발용제품(25.6↑) | ||
계측제어분석기 (11.4↑) | ·자동제어기(32.9↑) ·전자계측기(21.4↑) |
ㅇ (화장품) 기타화장품(99.8%↑), 메이크업·기초화장품(40.9%↑), 두발용 제품(25.6%↑) 수출이 급증하여 2016년 화장품 수출 상승(43.1%↑)을 견인
마스크팩을 포함한 기타 화장품은 한류 마케팅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수출 약 2배 증가
* 기타화장품 수출(백만불) : (’15)198(93%↑)→(’16)395(99.8%↑)→(’17.1Q)137(98.3%↑)
* ’16년 지역별 수출(백만불) : (중국) 164(167%↑), (미국)28(108%↑)
메이크업·기초화장품은 한방·천연소재 사용 제품의 품질경쟁력에 대한 소비자 인식 확대로 중국·홍콩·아세안 지역 중심 수출 증가
* 메이크업·기초화장품 수출(백만불) : (’15)2,439(53%↑)→(’16)3,437(41%↑)→(’17.1Q)932(32%↑)
* ’16년 지역별 수출(백만불) : (중국) 1,243(25%↑), (아세안)333(35%↑)
두발용 제품은 구매력이 높고 모발건강에 관심이 많은 중화권 시장 중심으로 수출 성장
* 두발용제품 수출(백만불) : (’15)176(36%↑)→(’16)221(26%↑)→(’17.1Q)59(14%↑)
* ’16년 지역별 수출(백만불) : (중국) 121(44%↑), (일본) 9(56%↑)
ㅇ (계측제어분석기) 자동제어기(32.9%↑), 전자계측기(21.4%↑) 등 수출 확대로 11.4% 수출 증가
- 자동제어기는 자동차용 전자제어시스템을 중심으로 중국·인도 등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해외 생산거점 지역 중심으로 증가
* 자동제어기 수출(백만불) : (’15)729(10%↓)→(’16)970(33%↑)→(’17.1Q)210(2%↑)
- 전자계측기는 자동차용 전자계측기, 전력 설비용 계측 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
* 전자계측기 수출(백만불) : (’15)176(13.7%↓)→(’16)214(21%↑)→(’17.1Q)57(19%↑)
ㅇ (비철금속) ‘16년 수출이 4.3% 감소함에도, 연(납)괴는 배터리 주요 증가와 연 단가 강세 영향으로 수출 증가
* 연괴 수출(백만불) : (’15)510(17%↓)→(’16)767(51%↑)→(’17.1Q)188(17%↑)
ㅇ (기타) 백판지(48.9%↑), 평판DP장비부품(41.1%↑), 항공기엔진(29.8%↑), X선 및 방사선기기부품(22.1%↑)등 수출 확대
- 백판지는 제조업 신흥성장국인 인도에서 포장용지 수요 증가와 경제 제재가 해제된(‘16.1월) 이란 등 수출 증가 영향으로 증가
* 백판지 수출(백만불) : (’15)148(29%↓)→(’16)220(49%↑)→(’17.1Q)59(12%↑)
- 평판DP장비부품은 일본 등의 디스플레이 설비 투자 확대에 따른 장비 부분품 수요 증가에 기인
* 평판DP장비부품 수출(백만불) : (’15)207(11%↑)→(’16)292(41%↑)→(’17.1Q)182(256%↑)
- 항공기엔진은 엔진부품 수출 증가로, EU 중심(21%↑) 수출 증가
* 항공기엔진 수출(백만불) : (’15)261(39%↓)→(’16)339(29.8%↑)→(’17.1Q)122(18%↑)
- X선 및 방사선기기 부품은 산업용 X선 장비 및 X선 장비 부품 등을 중심으로 증가
* X선/방사선기기부품 수출(백만불) : (’15)129(3.8%↓)→(’16)158(22%↑)→(’17.1Q)36(16%↑)
산업통상자원부는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수출 집중도를 축소하고, 수출 품목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소비재, 에너지 신산업 등 차세대 수출 품목을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
ㅇ 문화 융합 마케팅과 품목별 특화 마케팅을 통해 ‘17년 5대 소비재 수출 270억불(14.9%↑) 달성 지원
ㅇ 에너지 신산업 수출 확산을 위해 규제 완화, 초기 시장 창출
아울러, 주력 품목 내 경쟁력이 떨어지는 품목을 전기·자율차, MCP, SSD 등 차세대 수출 품목으로
점진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신산업 분야 R&D 투자(‘17년 3.7조원), 공기업 수요 발굴 등 지원할 예정
* 수출(백만불): ①전기차(’16)315(7.2%↓)→(’17.1Q)107(9%↑), ②MCP (’16)15,598(33%↑)→(’17.1Q)4,041(40.8%↑), ③SSD (’16)3,794(8.3%↑)→(’17.1Q)1,053(40%↑)
ㅇ 다만, 13대 품목은 기타품목 대비 수출 규모가 커* 13대 품목 내 고성장 품목 또한 지속 발굴해야
할 필요
* 2016년 수출호조품목 중 13대 품목 수출 금액 비중 : 55%, 기타품목 비중 : 45%
* 2016년 총 수출 중 13대 품목 수출 금액 비중 : 78%, 기타품목 비중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