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21.1℃
  • 맑음강릉 13.6℃
  • 맑음서울 21.7℃
  • 맑음대전 19.3℃
  • 흐림대구 15.1℃
  • 흐림울산 12.6℃
  • 맑음광주 20.7℃
  • 흐림부산 13.7℃
  • 맑음고창 14.0℃
  • 맑음제주 18.8℃
  • 맑음강화 17.6℃
  • 맑음보은 16.3℃
  • 맑음금산 18.9℃
  • 흐림강진군 16.2℃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3.9℃
기상청 제공

한성백제박물관-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서울에서 만나는 경주쪽샘 신라고분` 특별전 개최

- 한성백제박물관-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두 번째 공동기획 특별전시회 개최
- 4.8.(금)~6.12(일), 신라의 무덤 ‘경주 쪽샘지구’ 발굴 성과 소개
- 전시 연계 박물관 대학도 진행(4.12.~5.31, 총 8회)

한성백제박물관(관장 유병하)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과 체결한 학술교류 협약에 따

<서울에서 만나는 경주 쪽샘 신라고분> 특별전시를 오는 8일부터 612까지 66일간 한성백

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 기자간담회는 4715:00,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진행

 

이번 특별전은 지난 2019년 개최된 <한성에서 만나는 경주 월성> 특별전의 후속으로 기획되었으

, 2007년부터 발굴조사가 진행된 경주 쪽샘 신라고분 유적의 주요 유물들을 한데 모아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신라 고분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덧널무덤(木槨墓),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墓), 돌덧널무덤(石槨墓) 등에서 출토된 주요 유물 400여 점이 출품된다.

 

전시는 경주 쪽샘 신라고분 유적에서 확인된 덧널무덤을 시작으로 신라 마립간(麻立干) 시기 집중

적으로 만들어지는 돌무지덧널무덤과 돌덧널무덤을 주제로 모두 3부로 구성하였다.

 

먼저, 1덧널무덤에서는 신라 형성기 쪽샘 유적에 대해 살펴보고 돌무지덧널무덤이 본격

적으로 만들어지기 직전 신라고분에 대해 소개한다. 쪽샘 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신식 와질토기(

質土器), 고식 도질토기(陶質土器)를 비롯해 쪽샘 C10호에서 출토된 온전한 형태의 말 갑옷(馬甲)

도 함께 전시된다. 특히 말 갑옷의 경우 실제 유물을 그대로 복원한 재현품까지 함께 선보여 관람

객의 이해를 높일 예정이다.

* 와질토기 : 원삼국시대 사용했던 표면이 기와처럼 회색을 띠는 약간 무른 토기

* 고식 도질토기 : 삼국시대 사용했던 표면이 회청색을 띠는 유리질의 단단한 토기

 

2돌무지덧널무덤에서는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신라의 발전과 변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쪽샘 유적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금·은제로 만든 각종 장신구, 고리자

루큰칼(環頭大刀쇠투겁창(鐵矛) 등의 무기류, 발걸이(鐙子안장(鞍橋말띠드리개(杏葉) 등의 마구

류가 전시된다. 또한 토우(土偶)가 부착된 토기,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 농기구로 보이는 대형 철기

등 쪽샘 유적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총 망라되어 소개된다. 이를 통해 마립간 시기

화려하게 꽃피웠던 신라의 고분문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3부에서는 돌무지덧널무덤에 비해 출토 유물이 빈약하고, 크기가 작아 신라 고분연구에서 상대

적으로 소외 되었던 돌덧널무덤에 대해 살펴본다. 돌덧널무덤에서 출토된 굽다리 접시(高杯뿔잔

받침(角杯臺) 등의 토기류와 큰칼(大刀) 등의 무기류를 통해 돌무지덧널무덤과 거의 동시기 만들어

졌던 의미에 대해 소개한다. 특히 돌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용, 거북, 새 등이 새겨진 항아리도 함께

전시되어 신라인들의 예술세계를 만나볼 수 있다.

 

이번 특별전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관람을 위해 마스크 착용과 발열

확인, 관람 거리 유지 등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한편 전시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디지털 영

상들도 만나 볼 수 있으며, 특별전과 연계된 강연 등 다양한 행사도 준비되어 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앞으로도 선사·고대에 대한 조사와 연구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기관과 꾸준히

협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더 많은 시민이 백제를 비롯한 우리 고대사를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공할 계획이다.


   

2-말갑옷

3-토우장식 뚜껑과 굽다리 접시

   

4-금귀걸이

5-금드리개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