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국회

지난 6년간 사망 택배 노동자 14명만 산재 인정, 재해는 400건

20%도 안 되는 특고 산재보험 가입률 고려 시 실제는 훨씬 많아
이수진 의원, 택배 노동자 과로사가 없도록 범정부 차원의 종합대책 절실

[한국방송/이용진기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 올해 8월까지 택배 노동자는 모두 14명이 산재 사망하였고택배 노동자가 업무상 사고 또는 질병으로 산재 승인을 받은 것은 무려 400건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체국 택배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택배사 5개 사만을 살펴보았을 때 지난 6년간 산재 사망의 경우 CJ 대한통운에서 3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그 뒤를 이어 우체국 택배와 한진택배에서 각각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또한산재 승인된 재해의 경우 우체국 택배에서 68건 재해가 발생하였고, CJ 대한통운에서 40로젠택배 9한진택배 7건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한편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특고종사자의 산재보험 가입률을 고려하였을 때 훨씬 많은 택배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사고와 질병으로 고통받거나 사망해도 산재보험 등 사회제도로부터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수진 의원(비례)은 최근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 소식이 뉴스를 뒤덮고 있다, “먼저 고인이 된 노동자들의 명복을 빌며유족분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애통해하였다.

 

또한이수진 의원은코로나19로 물량도 늘어서 어느덧 우리 삶의 일부가 된 택배산업은 발전하는데 정작 그곳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고단함과 안전은 이전 그대로다, “더 이상 일하다 소중한 목숨을 잃는 택배 노동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업계 전반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철저한 감독과 과로사 해소를 위한 종합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표 1> 2015~2020.8월 택배 노동자 사망 산재 현황 (단위)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8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전체

총계

3

 

2

2

1

1

3

3

3

3

5

5

CJ대한통운

 

 

1

1

 

 

 

 

 

 

2

2

로젠택배

 

 

 

 

 

 

 

 

 

 

 

 

롯데택배

 

 

 

 

 

 

 

 

 

 

 

 

우체국택배

 

 

 

 

 

 

 

 

 

 

2

2

한진택배

 

 

 

 

 

 

1

1

1

1

 

 

기타

3

 

1

1

1

1

2

2

2

2

1

1

사고

소계

1

 

1

1

 

 

1

1

 

 

1

1

CJ대한통운

 

 

 

 

 

 

 

 

 

 

 

 

로젠택배

 

 

 

 

 

 

 

 

 

 

 

 

롯데택배

 

 

 

 

 

 

 

 

 

 

 

 

우체국택배

 

 

 

 

 

 

 

 

 

 

 

 

한진택배

 

 

 

 

 

 

 

 

 

 

 

 

기타

1

 

1

1

 

 

1

1

 

 

1

1

질병

소계

2

 

1

1

1

1

2

2

2

2

4

4

CJ대한통운

 

 

1

1

 

 

 

 

 

 

2

2

로젠택배

 

 

 

 

 

 

 

 

 

 

 

 

롯데택배

 

 

 

 

 

 

 

 

 

 

 

 

우체국택배

 

 

 

 

 

 

 

 

 

 

2

2

한진택배

 

 

 

 

 

 

1

1

 

 

 

 

기타

2

 

 

 

1

1

1

1

2

2

 

 

출퇴근

소계

 

 

 

 

 

 

 

 

1

1

 

 

CJ대한통운

 

 

 

 

 

 

 

 

 

 

 

 

로젠택배

 

 

 

 

 

 

 

 

 

 

 

 

롯데택배

 

 

 

 

 

 

 

 

 

 

 

 

우체국택배

 

 

 

 

 

 

 

 

 

 

 

 

한진택배

 

 

 

 

 

 

 

 

1

1

 

 

기타

 

 

 

 

 

 

 

 

 

 

 

 

※ 근로복지공단 최초 1회차 결재건 기준(2018년 이전까지 출퇴근재해는 사고에 포함)

※ 직종 명 택배기사’ 또는 ‘(특수직종택배기사에 해당하는 자료

※ 택배사 구분은 사업장명 기준

자료 출처고용노동부 산재보상정책과

 

<표 2> 2015~2020.8월 택배 노동자 산재 현황

(단위)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8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전체

총계

56

42

41

31

60

51

76

70

119

106

111

100

CJ대한통운

3

3

6

6

3

2

10

8

9

7

15

14

로젠택배

1

1

 

 

 

 

2

1

5

5

2

2

롯데택배

 

 

 

 

 

 

 

 

1

1

 

 

우체국택배

6

4

4

1

2

1

6

5

31

29

30

28

한진택배

1

1

1

1

1

1

2

2

2

2

 

 

기타

45

33

30

23

54

47

56

54

71

62

64

56

사고

소계

45

37

34

28

55

48

64

62

90

85

80

74

CJ대한통운

2

2

5

5

2

2

8

8

7

6

8

8

로젠택배

1

1

 

 

 

 

1

1

5

5

1

1

롯데택배

 

 

 

 

 

 

 

 

1

1

 

 

우체국택배

2

2

2

1

1

1

5

5

24

24

23

22

한진택배

1

1

1

1

 

 

1

1

1

1

 

 

기타

39

31

26

21

52

45

49

47

52

48

48

43

질병

소계

11

5

7

3

5

3

10

7

21

14

19

14

CJ대한통운

1

1

1

1

1

 

2

 

1

 

7

6

로젠택배

 

 

 

 

 

 

 

 

 

 

 

 

롯데택배

 

 

 

 

 

 

 

 

 

 

 

 

우체국택배

4

2

2

 

1

 

1

 

6

5

3

2

한진택배

 

 

 

 

1

1

1

1

 

 

 

 

기타

6

2

4

2

2

2

6

6

14

9

9

6

출퇴근

소계

 

 

 

 

 

 

2

1

8

7

12

12

CJ대한통운

 

 

 

 

 

 

 

 

1

1

 

 

로젠택배

 

 

 

 

 

 

1

 

 

 

1

1

롯데택배

 

 

 

 

 

 

 

 

 

 

 

 

우체국택배

 

 

 

 

 

 

 

 

1

 

4

4

한진택배

 

 

 

 

 

 

 

 

1

1

 

 

기타

 

 

 

 

 

 

1

1

5

5

7

7

※ 근로복지공단 최초 1회차 결재건 기준(2018년 이전까지 출퇴근재해는 사고에 포함)

※ 직종 명 택배기사’ 또는 ‘(특수직종택배기사에 해당하는 자료

※ 택배사 구분은 사업장명 기준

자료 출처고용노동부 산재보상정책과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