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8.0℃
  • 구름많음강릉 12.8℃
  • 서울 20.1℃
  • 흐림대전 19.6℃
  • 구름많음대구 13.9℃
  • 구름많음울산 11.6℃
  • 흐림광주 18.9℃
  • 흐림부산 13.5℃
  • 흐림고창 17.8℃
  • 흐림제주 20.3℃
  • 흐림강화 16.6℃
  • 흐림보은 15.0℃
  • 흐림금산 17.0℃
  • 흐림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1.0℃
  • 흐림거제 13.0℃
기상청 제공

뉴스

서울시, '수소차 확대' 발맞춰 상암‧양재 충전차량 2배 이상 확대

수도권 유일 수소충전 인프라 ‘상암‧양재충전소’ 1일 최대 35대 → 85대 충전
- 시 운영 상암충전소 인력 늘려 수소생산 62kg → 315kg, 충전차량 1일 5대 → 25대
- 현대차 운영 양재충전소 충전압력 낮춰 1일 30대 → 60대, 대기시간도 단축
- 국회충전소, 강동 상일충전소 운영 시… 2개소에서 약 840대까지 수용 가능

[서울/박기순기자] 수도권에 보급된 수소차가 '18년 말 84대에서 올 5250, 7340대로 지속 증가

중인 가운데, 서울시가 수소차 확대에 발맞춰 보다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수소차가 충전할 수 있도

록 상암양재 수소충전소의 충전차량을 2배 이상 확대한다.

 

서울시는 수도권 중 유일의 수소충전 인프라인 상암양재 소재 수소충전소의 수소 생산량을 늘리고,

충전압력을 조정해 수소 충전 가능 대상을 1일 총 35대에서 총 85대로 늘린다고 밝혔다. 수용 가능한

차량은 약 220대에서 300여대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상암은 하루 5대에서 25대로, 양재는 30대에서 60대로 각각 늘어난다.


시가 운영하는 상암수소스테이션은 15()부터 근무인력을 늘리는 방식으로 수소 생산량을 확대한

. 기존에 주148시간 동안 62kg 수소를 생산했다면, 이제는 주중 매일 120시간 동안 총 315kg

생산해 보다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게 됐다.

 

상암수소스테이션은 난지도의 매립가스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방식의 연구용 충전설비로,

시민편의를 위해 개방돼 있다.

 

현대자동차()가 운영하는 양재그린스테이션은 22()부터 충전압력을 350bar로 낮춰(기존

700bar) 완전충전이 아닌 반만 충전으로 보다 많은 차량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충전시

간 또한 절반가량 단축돼 대기시간도 줄어든다.


양재그린스테이션은 외부에서 사 온 수소를 탱크에 저장해 주입하는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충전압

력을 조정하면 차량별 충전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충전 가능한 전체 차량 대수는 늘어난다.

 

서울시는 규제샌드박스 1호 사업으로 추진 중인 국회충전소가 8월말 오픈하고, 10월 준공 예정

인 강동 상일충전소도 운영되면 충전주기를 고려했을 때 2개 충전소에서 약 840대까지 차량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회(700bar, 70/, 평균 7일 주기 충전), 강동 상일(700bar, 50/, 평균 7일 주기 충전) 충전 가능.

 

서울시는 국회충전소와 강동 상일충전소가 운영되면 '18년부터 추진 중이었던 상암양재충전소

의 업그레이드 공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설비를 철거교체해 충전압력과 설비용량을

늘려 주말까지 충전소를 운영하고, 무료 운영을 유료 운영으로 전환한다.

 

업그레이드 공사 시 기존 설비 철거, 교체 설치기간 중에는 불가피하게 약 2개월의 충전 중단기

간이 발생하나, 국회강동상일 충전소 이용이 가능(충전주기를 고려한 이용가능 차량이 840)

공사에 따른 충전 불편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서울시는 장거리 이동차량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고속도로 충전소 3개소(안성(·)

주휴게소) 외에도 각 지자체에서 구축하고 있는 수소충전소가 조기 준공될 수 있도록 지자체, 정부 등

과 지속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이병철 서울시 기후대기과장은 이번 상암양재 수소충전소 운영 방식 개선을 통해 수도권 내 수소차

량이 보다 빠르고 편하게 수소를 충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서울시는 이번에 2개 수소충전

소 성능을 개선하고, 추가적으로 2개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면 올해 시내 수소충전 인프라가 총 4개까지

확대된다. '22년까지 총 11개소 설치운영을 차질 없이 추진해 수소차 이용시민들이 충전하는 데 불편

함을 느끼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