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한상희기자] 서울시가 공공기관, 경제계, 언론계, 시민단체 등 사회 각계각층과 손잡고 청렴문화 풍토조성에 나선다. 서
울시는 총 49개 공공·민간 기관이 참여하는 「서울특별시 청렴사회민관협의회」를 22일 (목) 출범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청렴사회민관협의회’는 비상설 기구로 서울시장과 민간의장(송준호 흥사단투병사회운동본부 상임대표)이 공동의장을 맡는다.
사회 각 분야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청렴문화 확산, 부패방지 사업을 공동 수립 ·추진한다.
내년 2월 중으로 ‘실무협의회’를 개최해 참여기관별 청렴 실천과제를 마련하고 이행상황을 점검·공유할 예정이다. 서울시도
이와 별개로 내년 초 ‘청렴도 향상을 위한 혁신대책’을 자체적으로 마련해 협의회와 세부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49개 참여기관은 ▴서울시 및 시 산하 공공기관(서울시·서울시교육청·자치구 등) ▴시 투자·출연기관(서울주택도시공사·서
울시설공단 등) ▴경제계(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등) ▴언론계(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민간국제기구(한국투명성기구·유
엔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서울YMCA) ▴시민단체(흥사단투명사회운동본부·(사)서울특별시여성단체연합회·한국여성경제
인협회 서울지회) 등이다.
49개 참여 기관 중 위원기관은 29개로, 연 1회의 정기회의에 참석한다. 위원은 회의 개최 시 위촉하고회의 종료 시 해
촉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22일(목) 서울시청 다목적홀(8층)에서 협의회의 출범을 알리는 ‘서울특별시 청렴사회민관협의회
청렴실천 협약’을 체결한다. 박원순 시장, 박은정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49개 참여기관 대표및 임직원 등 300여 명이 참석
한다.
공동의장인 박원순 시장과 송준호 흥사단투병사회운동본부 상임대표가 환영사 한다. 박은정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김병섭 중앙 청렴사회민관협의회 민간의장도 참석해 축사한다.
식전행사로 별주부전을 각색해 현대적 청렴의 의미로 재해석한 청렴판소리 ‘신별주부전’ 공연도 열린
다.
협약에 따라 참여기관은 ▴부패방지 및 청렴활동 상호 교류협력 ▴부패방지 정책에 대한 사회각계 및 시민 제
안 적극 수렴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실천 운동 적극 추진 ▴협약기관별 실천과제 마련이행 ▴협약기관별
청렴실천과제 이행사항 상호 공유 등에 협력한다.
협약 후엔 청렴사회민관협의회의 첫 번째 실천으로 ‘민선7기 지방정부의 반부패 전략’이란 주제 아래 ‘반부
패 청렴정책 토론회’가 열린다. 서울시, 중앙정부, 연구기관 등 반부패 청렴정책 전문가들이 기존 청렴정책
에 대해 진단하고 지역사회 청렴문화 확산 방안 등을 모색한다. 특히, 시는 이날 토론회에서 논의된 반부패
정책을 검토해 서울시 ‘청렴도 향상을 위한 혁신대책’에 적극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가 주관하고 국민권익위원회, 중앙 청렴사회민관협의회,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
가 후원한다.
유한범 한국투명성기구 사무총장의 주제발표 후 패널로 참석한 이은경 유엔글로벌콤팩트 책임연구원,
김귀영 서울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장, 이선중 서울시립대 반부패시스템연구소 수석연구원, 강선아 국
민권익위원회 민간협력담당관, 강선섭 서울시 감사담당관이 토론을 펼친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청렴도 향상은 시민사회, 민간기업, 공공분야 등 모든 분야에서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바
탕으로 공동으로 협력해야 가능하다는 데 공감하면서 민간부문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반부패 정책
에 대한 성과를 낼 수 없다는 점을 주문하는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원순 시장은 “부패한 도시는 결코 세계적 도시로 도약할 수 없고 이는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이라며
“공공과 민간, 우리 사회 각계와 손잡고 구축한 반부패 네트워크를 통해 청렴문화 생태계를 조성, 서울 전역
에 청렴문화 풍토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