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05 (일)

  • 맑음동두천 -7.3℃
  • 맑음강릉 1.0℃
  • 박무서울 -3.1℃
  • 박무대전 -5.7℃
  • 박무대구 -5.1℃
  • 맑음울산 -0.8℃
  • 박무광주 -3.1℃
  • 맑음부산 1.4℃
  • 맑음고창 -6.3℃
  • 맑음제주 2.1℃
  • 맑음강화 -5.9℃
  • 맑음보은 -8.9℃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6.4℃
  • 맑음경주시 -7.9℃
  • 맑음거제 -1.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국내 친환경차 누적 150만대 돌파…전기차 전년 대비 68.4% ↑

전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 2550만 3000대 중 친환경차 37% 증가
국토교통부

[한국방송/김근해기자] 지난해 전기·수소차 등 국내 친환경차 등록대수가 40% 가까이 증가해 누적등록 대수가 150만대를 돌파했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말 기준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전년보다 2.4%(59만 2000대) 증가한 2550만 3000대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인구 1명당 자동차 보유 대수는 0.5대로, 서울 0.34대, 부산 0.45대, 경기 0.47대, 제주 1.02대 등이었다.

 

차종별로는 전년 대비 승용차는 2.7%, 화물차 1.8%, 특수차 9.7% 증가했으나 승합차는 3.5% 감소했다.

 

원산지별 누적점유율은 국산차 87.5%(2231만 3000대)이며 수입차가 12.5%(319만대)로 수입차 점유율 증가 추세를 보였다.

 

친환경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가 전년 대비 37.2%(43만 1000대) 증가해 누적 등록대수로 전체의 6.2%(159만대)를 차지했다. 

 

친환경차 중 전기차가 39만대로 전년 대비 68.4%(15만 8000대), 수소차는 3만대로 전년보다 52.7%(1만대), 하이브리드는 117만대로 전년 대비 28.9%(26만 2000대) 늘었다.

 

휘발유차는 전년 대비 2.6%(30만 9000대) 증가했으며 경유차와 LPG차는 각각 1.2%(11만 4000대), 2.1%(4만 1000대) 감소했다.

 

작년 한해 신규등록 차량은 169만 2000대로 전년 대비 2.9%(5만 1000대) 감소했다. 국산차는 3.7%(5만 2615대)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0.5%(1548대) 늘었다.

 

차종별 등록 대수는 포터Ⅱ, 쏘렌토 하이브리드, 팰리세이드, 캐스퍼 순으로, 친환경차는 쏘렌토 하이브리드, K8 하이브리드, EV6 순이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기차 및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은 내연기관차 대비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시대변화에 부합하는 자동차 정책의 수립·시행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등록현황을 세분화해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 자동차운영보험과 044-201-3860


포토이슈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포항시·울릉군, 학교복합시설 선도사업지역으로 선정
[한국방송/김국현기자] 경북 포항시와 울릉군이 경북지역의 학교복합시설 선도사업지역으로 선정됐다. 교육부는 3일 포항고등학교에서 김병욱 국회의원, 경상북도청, 경상북도교육청 등과 함께 경북지역 학교복합시설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학교시설 복합화는 지역에 필요한 다양한 문화·체육·복지시설을 학교의 유휴부지에 설치해 학생과 지역 주민이 함께 이용함으로써 학교를 지역 상생의 거점으로 활용하는 사업이다. 이는 지난달 5일 발표한 ‘교육부 연두 업무보고’의 4대 교육개혁 과제와 맞닿아 있는 핵심 정책으로, 교육부는 지역맞춤 교육개혁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학교와 주민활용도가 높은 도서관·수영장·국공립어린이집·주차장 등의 시설을 적극적으로 연계·활용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확대, 사업절차 간소화 등을 포함한 사업 활성화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관계자들이 3일 포항고등학교에서 경북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교육부) 이날 업무협약은 지난달 부산 선도사업지역 선정에 이어 두 번째로 추진되는 것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