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청장 이흥교)은 지난 7월 소방청과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공동으로 참여한「119구급대 심정지 대응 현황 분석」연구논문이 미국 응급의학저널(PEC*)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 PEC(Prehospital Emergency Care) : 응급의학분야 최상위 저널 중 하나로 국제 SCIE(과학기술인용색인)에 속하는 학술지
그간 양 기관은 2018년 1월‘응급의료발전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해, 서울대학교병원은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소방청은 구급전문인력을 상대 기관에 파견하는 인사교류제도*를 신설하면서 구급서비스 분야 연구사업을 활발히 수행해 왔다.
소속 |
근무장소 |
업무 |
소방청 구급전문인력 (구급대원 출신) |
서울대학교병원 |
구급서비스 분야 연구사업에 연구원으로 참여 |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소방청 119구급과 |
구급상황관리업무, 구급정책 수립·집행, 통계 등을 활용한 연구 활동 |
특히, 2021년 5월부터 소방청 직원과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들로 구성된‘119구급의학 연구 T/F팀’을 정식으로 출범해, 119구급대 활동 연구를 본격화하면서 이같이 국제학술지에 실리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이 연구팀은 2020년도 119로 이송된 심정지 환자 23,512명을 대상으로 일반구급대와 특별구급대*를 대상으로 소생률을 조사한 결과, 특별구급대가 더 빠르게 전문처치를 수행하면서 소생률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 특별구급대는 현 법률상 처치범위는 아니지만 중증환자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5가지 처치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19년도부터 시범운영 중인 구급대
< 특별구급대 출동환자별 확대처치 내용 >
비고 |
![]() |
![]() |
![]() |
![]() |
![]() |
대상 |
①심정지 추정 |
②심인성 흉통 추정 |
③중증외상 추정 |
④아나필락시스 추정 |
⑤응급분만 추정 |
확대 처치 |
투여 |
12유도 심전도 측정 |
진통제 투여 |
투여 |
탯줄 결찰, 절단 |
김태한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양 기관 간 인적교류를 통해 구급정책이 나날이 성장할 것”이라며, “끊임없는 연구와 개선으로 국민들이 누리는 응급의료서비스가 더 좋아질 수 있도록 연구 활동을 확대해 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