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최승순기자)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6월 27일 서울시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사회공헌기업, 지자체와 함께 '사회취약계층·어르신 활동공간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날 행사에는 이민호 환경부 환경정책실장과 남광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을 비롯해 부산광역시 등 14개 지자체 및 16개 사회공헌기업 관계자가 참석한다.
* 16개 사회공헌기업: CJ라이온(주), ㈜LG생활건강, ㈜LG하우시스, ㈜대흥FSC복합창, ㈜동양이앤피, ㈜디아이디벽지, 삼화페인트공업(주), ㈜서울벽지, 애경산업(주), ㈜에덴바이오벽지, ㈜재영, ㈜케이씨씨, 한경홀딩스(주), ㈜한샘, 한화L&C(주), ㈜현대리바트
'사회취약계층·어르신 활동공간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은 저소득가구, 결손가구, 다문화가구, 장애인가구, 독거노인가구 등 생활환경이 열악한 사회취약계층의 활동공간에 대해 환경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인자를 진단하고 개선해 주는 사업으로 2009년부터 시작했다.
환경성질환 유발 유해인자는 곰팡이, 포름알데하이드(HCHO), 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집먼지 진드기, 미세먼지, 이산화탄소(CO2) 등을 말한다.
올해 사업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약 1,500가구의 환경성 질환 유해인자를 진단하고, 진단가구 중 실내 환경이 열악한 600가구에 사회공헌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은 물품으로 생활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16개 사회공헌기업은 총 5억 3,000만 원 규모의 친환경 자재(벽지, 장판, 페인트 등), 가구, 생활용품 등을 기부한다.
아울러, 취약계층 진단가구 중 아토피·천식을 앓고 있는 250명의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해서는 무료 진료 서비스도 제공한다.
진료서비스는 고려대안암병원 등 환경보건센터*와 연계하여 환경성질환의 진단·치료를 2~4회 지원하고, 중증 질환자의 경우 진료 횟수를 확대할 예정이다.
* 환경보건센터: 환경성질환으로 인한 건강피해 규명·감시·예방 및 조사·연구를 위해 대학교, 병원 등을 환경보건센터(14개)로 지정 운영하고 있음
서흥원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은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친환경제품을 후원하고 있는 사회공헌기업의 아름다운 기부가 빛날 수 있도록 취약계층 실내환경개선 사업 확대에 더욱 힘을 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