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진승백기자] 정부가 탄력근로제 확대 입장을 밝힌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평균 근로시간에 맞게 근로시간을 늘리고 줄이도록 한 탄력근로제 확대를 둘러싸고 팽팽한 대치전선을 형성하고 있다.
19일 민주당과 정의당은 탄력적 근로시간제 기간확대와 관련해 국회에서 각각 간담회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민주당은 노동계 양대 세력 중 하나인 한국노총과 정책협의회를 마련했다. 민주노총은 이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이날 "한국노총이 제기한 탄력근로제, 최저임금 등에 대해 정책을 협의하면서 잘 합의해 나가도록 하겠다"며 "민주노총과도 충분히 대화하는 자리가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탄력근로제 확대에 대한 당 안팎의 우려가 커지자 급하게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간담회 이후 서면브리핑을 통해 "탄력근로시간제 단위기간 확대 등 당면한 노동현안은 사회적 대타협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서 충분히 논의해 나갈 것"이라며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임금삭감의 수단이나 장시간 연속근로의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같은 날 정의당은 참여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노동위원회 등과 함께 탄력근로제 확대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탄력근로제 확대를 두고 "연장근로를 포함하면 6주 연속으로 64시간까지 장시간 노동이 가능하게 한다"며 "정부와 국회는 지금이라도 경제계의 입장만을 대변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기간확대 시도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악화시키는 개악안의 결과는 '노동존중사회'가 아니라 '노동억압사회'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탄력근로제로 인해 장시간 노동에 노출되는 노동자는 우리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노동약자"라며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를 밀어붙이기 위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에 기득권을 운운하며 본질을 호도하는 정부여당에 대해 유감"이라고 비판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노동계 목소리를 내는 민주노총이 배제된 상태에서 정부·여당이 경사노위 논의 진행을 요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경사노위 대신 다른 합의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의당은 20일 경기 판교 IT밸리에서 탄력기간제 확대에 장시간 근무가 예상되는 IT분야 근로자를 상대로 탄력기간제 확대 규탄 연설대회를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