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진승백기자] 여야가 올해 안에 탄력근로제 확대를 위해 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또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문건’과 관련한 청문회 개최에도 합의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김성태 자유한국당‧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8일 오전 국회에서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합의문 후속조치를 위한 회동을 열었다. 앞서 지난 5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의 첫 여야정 상설협의체에서 정의당을 제외한 4당은 기업 어려움을 해소하겠다며 탄력근로제 확대 적용을 위한 보완입법에 합의했다.
이에 교섭단체 3당은 이날 회동에서 탄력근로제 확대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이들은 우선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오는 20일까지 탄력근로 관련 노사간 합의를 도출해 달라고 요청하기로 했다. 만약 이 기간까지 합의가 도출되지 않을 경우 국회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홍 원내대표는 “가능하면 노사 간의 합의를 통해 안을 만들고 그것을 국회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여의치 않을 때는 국회가 처리하다는 것이 합의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교섭단체 3당은 또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기무사의 계엄령 검토 문건 의혹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앞서 여야는 지난 7월 기무사 계엄문건 작성에 대한 국방부 특별수사단 등의 수사결과 발표 이후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친 후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여야는 또 여야정 상설협의체에서 합의한 사안들에 대한 논의를 추진하고자 여야 3당 원내수석부대표, 정책위원회 간 상설협의체를 만들어 매일 협상을 하기로 했다.
이날 회동에선 국민연금 문제와 사법농단에 따른 특별재판부 설치, 고용세습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등 여야 쟁점 현안들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