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박기순기자]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의 의사 드니 무퀘게와 이라크 소수민족 야지디족 여성운동가 나디아 무라드가 공동선정됐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드니 무퀘게(63)와 나디아 무라드(25·여)를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은 전쟁과 무력분쟁의 무기로서 성폭력을 사용하는 일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노력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데니스 무퀘게는 산부인과 전문의로서 콩고에서 성폭력 피해 여성 치료에 매진해왔다. 무퀘게는 구동안 여성 인권운동에 힘써 평화상 후보로 꾸준히 거론돼왔다. 프랑스에서 의학을 전공한 무퀘게는 귀국 후 성폭력 피해 여성을 돕기 위한 '판지 병원'을 설립하고 수만 명을 진료했다.
그는 2012년 9월 유엔 연설에서 성폭력에 책임이 있는 무장세력들에게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할 것과 콩고민주공화국의 내전 종식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하는 등 분쟁 지역의 성폭력 근절을 위한 목소리도 냈다.
이런 공로로 2008년 유엔인권상, 2011년 클린턴 글로벌 시티즌 어워즈, 2014년 유럽의회가 수여하는 사하로프 인권상을 받았고 꾸준히 노벨평화상 후보로 거론돼왔다. 2016년에는 제13회 서울평화상을 수상한 바 있다.
노벨위원회는 "무퀘게는 지속적으로 처벌받지 않는 집단 성폭행을 규탄하고 전쟁의 무기와 전략으로서 여성을 성폭행하는 일을 멈추기 위해 충분한 일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콩고 정부와 다른 나라들을 비판해왔다"고 소개했다.
또다른 수상자인 나디아 무라드는 이라크 소수 민족 '야지디'족 출신으로서 IS에 납치됐다가 탈출한 뒤 현재 인권운동가로 활동 중이다. 무라드는 지난 2014년 이라크 북서부 신자르 지역을 장악한 IS 대원들에게 납치돼 성고문과 고문, 구타 등을 당했다.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한 그는 현재 국제사회에 IS의 잔혹 행위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는 2016년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의 첫 '인신매매 생존자 존엄성'을 위한 친선대사로 임명됐으며 IS의 만행을 고발하고 야지디족 보호 캠페인을 벌인 공로로 유럽평의회 인권상과 유럽 최고 권위의 사하로프 인권상을 받았다.
이런 무라드에 대해 노벨위원회는 "자신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술회하고 다른 피해자를 대표해 발언하는 흔치 않은 용기를 보여줬다"고 밝혔다.
한편, 외신들이 평화상 수상 후보로 거론했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은 이날 수상자 발표에서 호명되지 않았다. 북핵 위기가 고조됐던 지난해에는 핵무기 없는 세상을 지향하는 비정부기구(NGO) 연합체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노벨평화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