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광일기자]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남봉현)는 올해 3분기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동기 67만5천TEU 보다 15.8% 증가한 78만1천TEU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인천항 역대 분기 물동량 중에서 최대의 수치로 지난해 4분기 70만TEU대를 달성한 이후 최고치를 갱신한 것이며, 올해 누적 물동량은 225만1천TEU로 집계됐다.
항만공사에 따르면, 인천항의 3분기 전체 물동량 가운데 수입 화물은 39만3천TEU로 50.4%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4만5천TEU(12.9%) 증가했다. 수출은 38만1천TEU로 전년 동기보다 6만1천TEU(19.1%)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4,743TEU(25.0%), 1,907TEU(△16.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물동량(470,114TEU)이 19.6% (77,163TEU), 태국 물동량(35,191TEU)이 39.7% (9,995TEU) 증가했다. 대 이란 물동량(11,821TEU)은 지난해 6월에 중동항로서비스가 개설된 이후로 물동량 증대효과가 지속되면서 94.9% (5,756TEU)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달의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역시 역대 9월 물동량 중 최대치인 26만5천134TEU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22만1천727TEU 대비 19.6% 증가한 수치다. 당초 예상보다 올해의 9월 물동량이 높이 나타난 것은 10월초 긴 추석연휴를 앞두고 밀어낸 효과로 풀이된다.
인천항만공사 물류전략실 김종길 실장은 “대 중국 항만의 물동량은 인천항에서 향후에도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지만, 동남아 항만의 물동량 비중도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앞으로 동남아지역뿐만 아니라 미주지역 등의 원양항로 서비스 확충으로 항로 다변화를 통해 수도권 수출입 화주의 항만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기타 자료> 인천항을 중심으로 통계 비교
<참고 자료> 물동량 현황 등 통계표
< 기타 분석 자료 : 인천항을 기준으로 >
지난 5개년 동안 인천항과 대 외국항만별 연간 물동량 규모에서는 상위 5대 항만은 상하이(상해)항, 칭다오(청도)항, 옌타이(연태)항, 세코우항, 다롄(대련)항으로 모두 중국항만이 차지하였다. 상하이항은 2012년 20만1천TEU에서 2016년 30만TEU로 연평균 10.5% 증가율을 보였으며. 또한 칭다오항이 2012년 21만4천TEU에서 2016년 27만2천TEU로 연평균 6.2%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9월까지 물동량 기준으로 상위 5대 항만은 상하이항, 칭다오항, 옌타이항, 세코우항, 하이퐁항이었다. 상하이항은 전년 동기보다 4만4천TEU 증가한 25만7천TEU를 기록하면서 인천항의 최대 교역항 지위를 유지하였으며, 칭다오항은 상위 5개 항만 중에서 가장 높은 26.6%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24만2천TEU를 보였다. 베트남의 하이퐁항은 지난해 9월 누계 8만5천TEU에서 올해 10만7천TEU로 26.1%의 물동량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지난 5개년 누계 물동량이 10만TEU이상인 대 외국항만의 연간 물동량 증가율에서 상위 5대 항만은 하이퐁항, 닝보항, 호치민항, 방콕항, 카오슝항으로 동남아 항만이 강세를 보였다. 하이퐁항(베트남)은 2012년 4만2천TEU에서 2016년 12만2천TEU로 연평균 30.4% 증가율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닝보항(중국)이 2012년 5만2천TEU에서 2016년 10만7천TEU로 연평균 19.8% 증가율을 보였다. 호치민항(베트남), 방콕항(태국), 카오슝항(대만)은 각각 연평균 18.8%, 17.9%, 14.7% 증가율을 나타냈다.
<참고자료> 물동량 현황 등 통계표
【참고 1】9월 컨테이너 물동량 총괄 (단위 : TEU, %)
구 분 | ‘16년 | ‘17년 | 전년대비 증감량/율 | |||||
9월 | 누계 | 9월 | 누계 | 동월 | 누계 | |||
전 체 | 221,727 | 1,912,268 | 265,134 | 2,250,682 | 43,407 | 19.6 | 338,414 | 17.7 |
수 입 | 116,398 | 986,880 | 134,221 | 1,124,465 | 17,823 | 15.3 | 137,585 | 13.9 |
수 출 | 103,343 | 907,329 | 128,635 | 1,065,400 | 25,292 | 24.5 | 158,071 | 17.4 |
환 적 | 1,296 | 10,980 | 1,663 | 16,809 | 367 | 28.3 | 5,829 | 53.1 |
연 안 | 691 | 7,079 | 615 | 44,008 | △76 | △11.0 | 36,929 | 521.7 |
【참고 2】3분기 수출입별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TEU, %)
구분 | 물동량 | 전년대비 | ||
'16.3분기 | '17.3분기 | 증감량 | 증감율 | |
전 체 | 674,509 | 781,036 | 106,527 | 15.8 |
수 입 | 348,529 | 393,375 | 44,846 | 12.9 |
수 출 | 319,908 | 381,011 | 61,104 | 19.1 |
환 적 | 3,793 | 4,743 | 950 | 25.0 |
연 안 | 2,280 | 1,907 | △373 | △16.4 |
【참고 3】3분기 국가별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TEU, %, 증감량 기준)
구분 | 물동량 | 전년대비 | |||
'16.3분기 | '17.3분기 | 증감량 | 증감율 | ||
전체 | 674,509 | 781,036 | 106,527 | 15.8 | |
증가 | 중국 | 392,951 | 470,114 | 77,163 | 19.6 |
태국 | 25,196 | 35,191 | 9,995 | 39.7 | |
이란 | 6,065 | 11,821 | 5,756 | 94.9 | |
베트남 | 64,932 | 68,767 | 3,836 | 5.9 | |
감소 | 대만 | 29,933 | 27,227 | △2,707 | △9.0 |
멕시코 | 2,113 | 670 | △1,443 | △68.3 |
【참고 4】연간 분기별 컨테이너 물동량 (단위 : 천TEU, %)
구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전 체 | 2,335 | 2,377 | 2,680 | |
1분기 | 521 | 539 | 580 | 698 |
2분기 | 604 | 599 | 658 | 772 |
3분기 | 603 | 602 | 675 | 781 |
4분기 | 606 | 638 | 767 |
|
【참고 5】5년간 물동량 상위 10위 대 외국항만
(단위 : 천TEU, %)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평균 증감률 |
상하이(상해) | 201 | 231 | 254 | 268 | 300 | 10.5 |
칭다오(청도) | 214 | 239 | 271 | 245 | 272 | 6.2 |
웨이하이(위해) | 116 | 118 | 119 | 131 | 143 | 5.2 |
세코우 | 81 | 93 | 114 | 120 | 138 | 14.2 |
다롄(대련) | 72 | 92 | 83 | 87 | 94 | 6.9 |
홍콩 | 78 | 86 | 94 | 84 | 81 | 1.1 |
닝보 | 52 | 58 | 83 | 99 | 107 | 19.8 |
하이퐁 | 42 | 56 | 76 | 96 | 122 | 30.4 |
톈진(천진) | 91 | 66 | 58 | 80 | 92 | 0.3 |
옌타이(연태) | 62 | 65 | 73 | 70 | 76 | 5.2 |
【참고 6】‘17년 9월 누계 물동량 상위 10위 대 외국항만
(단위 : 천TEU, %)
구분 | '16.9월 누계 | '17.9월 누계 | 증가량 | 증가율 |
상하이(상해) | 212 | 257 | 44 | 20.9 |
칭다오(청도) | 191 | 242 | 51 | 26.6 |
세코우 | 99 | 115 | 16 | 16.0 |
옌타이(연태) | 99 | 115 | 15 | 15.4 |
하이퐁 | 85 | 107 | 22 | 26.1 |
닝보 | 77 | 106 | 29 | 38.3 |
톈진(천진) | 66 | 81 | 15 | 22.6 |
다롄(대련) | 64 | 74 | 10 | 16.0 |
호치민 | 63 | 67 | 4 | 5.5 |
홍콩 | 59 | 64 | 4 | 7.2 |
【참고 7】5년간 물동량 증가율 상위 10위 대 외국항만
(단위 : 천TEU, %)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평균 증감률 |
하이퐁 | 42 | 56 | 76 | 96 | 122 | 30.4 |
닝보 | 52 | 58 | 83 | 99 | 107 | 19.8 |
호치민 | 44 | 52 | 58 | 75 | 88 | 18.8 |
방콕 | 22 | 25 | 31 | 41 | 43 | 17.9 |
카오슝 | 22 | 29 | 34 | 37 | 38 | 14.7 |
세코우 | 81 | 93 | 114 | 120 | 138 | 14.2 |
상하이(상해) | 201 | 231 | 254 | 268 | 300 | 10.5 |
포트켈랑 | 25 | 36 | 37 | 34 | 37 | 9.6 |
친황다오(진황도) | 26 | 30 | 39 | 33 | 35 | 7.6 |
스다오(석도) | 43 | 47 | 51 | 47 | 56 | 7.1 |
주) 5년간 누계 물동량 10만TEU 이상 항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