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회

금태섭 의원 "화학적 거세 7년간 16명 집행"

강간 8명, 추행 4명,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 4명
범죄예방 근본적 처방 안돼…대상 확대 바람직하지 않아

[한국방송/한상희기자] 정부가 ‘몰카범’도 화학적 거세 대상으로 추가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제도시행 후 현재까지 화학적 거세의 집행은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금태섭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 시행(2011.7.24) 이후 현재까지 22명에 대해 화학적 거세가 확정됐다.

 

이 중 16명에 대해 집행됐거나 집행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화학적 거세가 집행된 16명 중 ‘대상범죄’는 강간 8명, 추행 4명,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 4명 순이었다.

 

‘연령’은 30대 6명, 40대 5명, 50대 3명, 60대 2명이었다.


화학적 거세를 위해 1인당 연간 500만원이 지원되지만 성범죄를 예방하고 억제하는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없다는 지적들이 있다.


하지만 정부는 7월 약물치료 대상범죄에 ‘아동·청소년 강간 등 상해·치상죄 및 아동·청소년 강간 등 살인·치사죄와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를 포함하는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금태섭 의원은 “화학적 거세는 약물을 통해 욕구를 잠시 사라지게 할 뿐 약물을 끊으면 다시 성범죄를 저지를 사람이 많다”며 “약물치료 효과와 부작용 등에 대한 과학적·객관적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에서 화학적 거세 대상을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