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광일기자)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민선6기 3주년 인천시장 공약이행정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정복 시장의 공약이행도는 64.8%로‘보통’수준이었다. 인천시가 자체 평가한 공약이행도(91.4%)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인천경실련 평가에서 전년 대비 교통.경제.행정분야의 공약이행도는 거의 답보 상태인 반면에, 교육.안전.복지분야 공약이행도는 상승했다. 시가 교통.경제.행정분야에‘부진.보류’로 평가받은 공약이 몰려있다.
시는 올해도 실현가능성 등을 이유로 일부 공약을 보류했다. 인천경실련도 지난해 보다 줄긴 했지만,‘재검토’하라고 평가한 공약이 여전히 많다. 시민의 입장에 서서 사회적, 정책적 갈등을 해소하려는 시의 노력이 요구된다.
인천경실련 평가결과 모두 128개 공약 중에‘완료.이행’되거나,‘정상’추진 중인 공약은 83개로 64.8%를 차지했다. 반타작도 못한 지난해 공약이행도(48.9%)보다는 상승했지만‘보통’수준이다. 반면에 시는 117개, 91.4%로 평가해 큰 시각 차이를 보였다. 인천경실련은“유 시장은 남은 1년의 임기동안 어떤 방법으로 이러한 시각 차이를 좁혀서 공약 이행을 완성할지가 숙제로 남았다”고 제기했다.
인천경실련 평가결과 전년에 비해 교육.안전.복지분야의 공약이행도는 상승한 반면, 교통.경제.행정분야 공약이행도는 거의 답보상태였다. 또 굵직한 지역현안을 반영한 공약들이‘부진’하다고 평가돼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먼저 지난해에 삶의 질과 직결된 교육.안전.경제분야 공약이행도가 저조했지만, 올해는 교육.안전분야 공약이 복지분야 공약과 함께 이행도 상승곡선을 그렸다. 하지만 굵직한 지역현안들이 담겨 있는 교통.경제.행정분야 공약은 거의 답보 상태다. 경인전철 지하화를 비롯 서울지하철7호선 청라 연장,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및 일반화와 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제3연육교 건설 등 교통분야 공약은 물론 국제항만물류단지 조성(신항 매립토 부족으로 차질), 경인아라뱃길 수변공간 개발, 인천항.인천국제공항.인천경제자유구역에 한해 공장 신증설 허용, 루원시티 활성화,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와 신산업 유치, 부평미군기지 반환, 2014AG신설경기장 사후활용 등 경제분야 공약 그리고 세외수입 발굴, 신규 토지자원(준설토 투기장) 활용 등 행정분야 공약이 부진하다.
인천경실련 관계자는“공약이행도 상승에도 불구하고 인천의 미래 먹거리 기반을 적기에 조성하지 못했다는 평가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