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환경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이젠 약국 내 QR 스티커로 쉽게 찾으세요!

- 서울시 5,500여 개 약국에 올바른 분리배출 포스터, 수거함 위치 QR 스티커 비치
-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우체통 등 서울시 내 수거함 1,771개…동당 평균 4개 설치
- 알약은 포장·밀봉 상태 그대로, 물약은 마개 덮어 배출…건강기능식품은 일반쓰레기

[서울/박기문기자] 가정 내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복용 후 남은 약 등 항상 처치 곤란한 폐의약품, 서울시는 30일(화)부터 폐의약품 수거함 QR 스티커와 올바른 분리배출 포스터를 배포해 시민의 폐의약품 수거함 접근 편의성을 높인다.

 

폐의약품 수거함은 ‘스마트서울맵’ 누리집(https://map.seoul.go.kr/)에서 ‘폐의약품’을 검색해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어 서울시 약사회와 협력해 서울시 내 약국 약 5,500개소에 폐의약품 분리배출 요령 포스터와 위치 QR 스티커를 비치한다.

 

현재 서울시 내 폐의약품 수거함은 1,771개(구청·주민센터·보건소 등 938개, 우체통 833개)로, 동당 평균 4개 설치돼 있어 서울 어디서든 10분 내 수거함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7개(성동, 강북, 도봉, 노원, 서대문, 서초, 강남) 자치구 내 약국 1,720개소에서도 자체적으로 폐의약품을 수거하고 있다.

 

폐의약품을 부적절하게 배출(종량제봉투, 싱크대 등)하면 약 성분이 토양과 하천으로 유입돼 환경오염은 물론 동식물의 생식·성장을 방해할 수 있고, 우리 건강에도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꼭 적절한 방법으로 분리배출해야 한다.

             

폐의약품 수거함 및 우체통 위치 QR 스티커

방법은 간단하다. 조제약·알약·캡슐의 경우 포장·밀봉 상태 그대로, 물약·시럽·연고 등은 마개를 닫은 채로 폐의약품 수거함에 배출하면 된다. 건강 기능식품(비타민, 오메가-3, 유산균제 등)은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우체통을 이용할 경우에는 밀봉 후 봉투에 ‘폐의약품’을 표시해 배출하면 된다. 단, 물약류는 우체통 이용이 불가하다.

 

한편 서울시 폐의약품 수거량은 지난해 241톤으로, 2021년부터 매년 30% 이상 증가 추세이다. 올해 수거량은(’25. 9월 기준) 178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2.2%인 20톤 증가했다.

 

정미선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수거함 위치 QR 스티커 비치로 시민분들이 폐의약품을 편리하게 배출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라며, “폐의약품 분리배출에 대한 시민의 높은 관심과 실천에 감사 인사를 전하고, 그에 걸맞도록 분리배출 장소 확대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