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되새기는 ‘우리들의 광복절’
서울역사박물관이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우리들의 광복절> 특별전을 동시에 개막한다.
먼저, 서울·안동 교류 특별전으로 마련된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은 기획전시 A실에서 8월 31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안동 명문가 출신 이상룡 선생의 애국정신과 만주 무장독립투쟁의 역사를 조명하고 고택 임청각 복원 개장(’25.8.15.)을 소개한다.
서울역사박물관 광복 80주년 기념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우리들의 광복절' 특별전
두 번째 <우리들의 광복절>은 기획전시 B실에서 11월 9일까지 개최된다. 광복 이후 서울에서 다양하게 펼쳐진 광복절 경축식과 문학·음악·영화 등 대중문화를 통해 광복절이 기억되고 재현된 과정을 재조명한다.
광복의 의미를 음악으로 되새기는 재능나눔 콘서트도 준비됐다. 8월 16일 서울역사박물관 로비에서 ‘되찾은 땅, 되찾은 노래’를 주제로 한 음악회가 열린다. 황순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의 해설과 송은주 음악감독의 총괄 아래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분관 딜쿠샤와 경교장에서도 광복절 기념 전시가 진행된다.
이와 함께 서울역사박물관 분관 딜쿠샤와 경교장에서도 광복절 기념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딜쿠샤에서는 <독립, 일상에서 지킨 염원>을 통해 일제강점기 외국인 기자 앨버트 W. 테일러와 김주사의 삶을 소개한다. 김주사의 후손인 민정기 작가의 작품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경교장에서는 <광복, 끝과 시작의 문턱에서> 전시가 열리고 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임시정부가 서울 경교장에 자리 잡기까지의 과정을 따라가며 해방 직후 정치적 환국 과정과 의미를 되새긴다.
광복 80주년 기념 전시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금요일은 9시까지 연장)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월요일은 휴관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사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서울역사박물관 02-724-0274~6
이회영 기념관 특별전…목소리로 만나는 여성 독립운동가 12인
8월 8일부터 9월 11일까지 이회영기념관은 여성 독립운동가를 주제로 한 체험형 전시 '목소리'를 개최한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이회영기념관은 8월 8일부터 9월 11일까지 여성 독립운동가 12인의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는 체험형 전시 <목소리>를 개최한다.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목소리>는 그동안 어머니, 아내, 딸이라는 이름 아래 독립운동의 조력자나 주변 인물로만 소개 온 여성들을 역사의 주체로 재조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번 특별전의 핵심은 ‘땅에서 돋은 귀’다. 기념관 앞마당에 설치된 여덟 개의 귀 모양의 관 조형물에 귀를 대면 ▴유관순 ▴강주룡 ▴김알렉산드라 ▴김향화 ▴남자현 ▴윤희순 ▴박음전 ▴소은명 등 독립운동가 8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 밖에 ▴이은숙 ▴권기옥 ▴조마리아 ▴이화림 등 4인의 목소리는 기념관 내부에서 만날 수 있다.
5인의 연극배우들과 독립운동가 박음전의 모교인 ‘목포정명여고’와 소은명의 모교 배화학당의 후신인 ‘배화여대’ 학생들이 참여해 이들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이회영기념관은 특별전 <목소리> 외에도 올 하반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관람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명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의 청년시절 활동 터를 탐방했던 ‘이회영 노선 1’에 이어 올해 새로 선보이는 ‘이회영 노선 2’는 사직동 묵은집(이회영기념관), 중명전, 경교장, 딜쿠샤 등 근대 건축물을 탐방한다.
‘이회영 노선2’ 프로그램은 10월 1주부터 격주 토요일마다 운영되며, 참가 신청은 이회영기념관 누리집에서 8월 23일부터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전문 해설과 함께 근대 주요 건축물을 둘러보고, 이회영기념관에서 제작한 달부채와 이회영 6형제 연필 등 소정의 기념품도 받을 수 있다.
매월 네 번째 수요일 저녁에는 음악과 함께 우리 시대 명작과 독립운동 관련 책을 함께 읽고 나누는 ‘벗집독서클럽’이 열린다. 이회영기념관 누리집에서 신청을 받고 있으며, 현장 신청을 통해서도 참여할 수 있다. 8월에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생동감 넘치는 항일문학의 최고봉 김구의 <백범일지>를, 9월에는 김소월의 <진달래꽃> 문학답사를 떠난다.
문의: 이회영기념관 02-75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