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최동민기자] 조희대 대법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 신속하지 못한 재판으로 고통받는 국민은 없는지 세심히 살펴보겠다 ” 고 강조했지만 ,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 누적된 재판지연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수준으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 ( 대구 달서구갑 ) 이 대법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전임 김명수 대법원장이 취임한 2017 년 8 월 이후 민사소송과 형사소송 모두 법원의 재판 평균처리 기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민사소송 ( 제 1 심 합의사건 ) 의 경우 평균처리기간이 2018 년 9.9 개월에서 2023 년 15.8 개월로 증가했고 , 형사소송 ( 제 1 심 합의사건 ) 의 경우 평균처리기간이 2018 년 4.9 개월에서 2023 년 6.9 개월로 늘어났다 . 재판소요 기간이 늘어난 만큼 소송당사자의 권리구제 역시 늦어질 수밖에 없다 .
1 년 초과 장기미제사건도 민사소송 ( 제 1 심 ) 의 경우 2018 년 32,103 건에서 2023 년 51,279 건으로 크게 증가했고 , 형사소송 ( 제 1 심 ) 도 2018 년 9,257 건에서 2023 년 13,317 건으로 증가했다 .
홍석준 의원은 “ 법원의 재판지연으로 소송당사자의 권리구제가 늦어지는 등 문재인 정부 시절 사법의 문제점이 누적되어 왔다 ” 며 , “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라는 법언과 같이 신속하고 효과적인 국민의 권리구제를 위해서 재판지연 문제가 조속히 개선될 수 있도록 대책이 필요하다 ” 고 강조했다 .
<민사본안 평균처리기간>
| 
			 구분 연도별  | 
			
			 평균처리기간(월)  | 
		|||
| 
			 제1심  | 
			
			 항소심  | 
		|||
| 
			 전체  | 
			
			 합의사건  | 
			
			 단독사건  | 
		||
| 
			 2018년  | 
			
			 4.9  | 
			
			 9.9  | 
			
			 7.0  | 
			
			 7.9  | 
		
| 
			 2019년  | 
			
			 5.3  | 
			
			 9.9  | 
			
			 7.0  | 
			
			 8.2  | 
		
| 
			 2020년  | 
			
			 5.5  | 
			
			 10.3  | 
			
			 7.1  | 
			
			 8.9  | 
		
| 
			 2021년  | 
			
			 5.8  | 
			
			 12.1  | 
			
			 7.5  | 
			
			 10.1  | 
		
| 
			 2022년  | 
			
			 5.9  | 
			
			 14.0  | 
			
			 7.6  | 
			
			 10.9  | 
		
| 
			 2023년  | 
			
			 5.8  | 
			
			 15.8  | 
			
			 7.4  | 
			
			 10.9  | 
		
<형사공판 평균처리기간>
| 
			 구분    연도별  | 
			
			 평균처리기간(월)  | 
		|||
| 
			 제1심  | 
			
			 항소심  | 
		|||
| 
			 전체  | 
			
			 합의사건  | 
			
			 단독사건  | 
		||
| 
			 2018년  | 
			
			 4.5  | 
			
			 4.9  | 
			
			 4.5  | 
			
			 4.7  | 
		
| 
			 2019년  | 
			
			 4.8  | 
			
			 5.3  | 
			
			 4.7  | 
			
			 5.1  | 
		
| 
			 2020년  | 
			
			 5.2  | 
			
			 5.9  | 
			
			 5.2  | 
			
			 5.9  | 
		
| 
			 2021년  | 
			
			 5.9  | 
			
			 6.6  | 
			
			 5.8  | 
			
			 6.2  | 
		
| 
			 2022년  | 
			
			 6.0  | 
			
			 6.8  | 
			
			 5.9  | 
			
			 7.0  | 
		
| 
			 2023년  | 
			
			 6.0  | 
			
			 6.9  | 
			
			 5.8  | 
			
			 7.1  | 
		
<민사본안 장기미제사건>
| 
			 구분    기준일자  | 
			
			 미제건수(1년 초과)  | 
		||
| 
			 제1심  | 
			
			 항소심  | 
			
			 상고심  | 
		|
| 
			 2013. 12. 31.  | 
			
			 17,284  | 
			
			 2,908  | 
			
			 1,317  | 
		
| 
			 2014. 12. 31.  | 
			
			 21,651  | 
			
			 3,588  | 
			
			 1,276  | 
		
| 
			 2015. 12. 31.  | 
			
			 24,949  | 
			
			 3,827  | 
			
			 837  | 
		
| 
			 2016. 12. 31.  | 
			
			 26,879  | 
			
			 3,442  | 
			
			 843  | 
		
| 
			 2017. 12. 31.  | 
			
			 30,339  | 
			
			 3,667  | 
			
			 1,105  | 
		
| 
			 2018. 12. 31.  | 
			
			 32,103  | 
			
			 3,497  | 
			
			 1,338  | 
		
| 
			 2019. 12. 31.  | 
			
			 36,641  | 
			
			 4,019  | 
			
			 2,544(1,248)  | 
		
| 
			 2020. 12. 31.  | 
			
			 45,121  | 
			
			 7,194  | 
			
			 5,126(1,181)  | 
		
| 
			 2021. 12. 31.  | 
			
			 49,847  | 
			
			 8,768  | 
			
			 8,795(1,178)  | 
		
| 
			 2022. 12. 31.  | 
			
			 53,084  | 
			
			 9,225  | 
			
			 2,078(868)  | 
		
| 
			 2023. 12. 31.  | 
			
			 51,279  | 
			
			 9,310  | 
			
			 14,742(734)  | 
		
자료 : 대법원
주: ( )내의 수는 소권남용인 특정당사자(원고 정OO) 사건을 제외한 수치임.
<형사공판 장기미제사건>
| 
			 구분    기준일자  | 
			
			 미제인원 수(1년 초과)  | 
		||
| 
			 제1심  | 
			
			 항소심  | 
			
			 상고심  | 
		|
| 
			 2013. 12. 31.  | 
			
			 6,722  | 
			
			 1,071  | 
			
			 846  | 
		
| 
			 2014. 12. 31.  | 
			
			 6,844  | 
			
			 800  | 
			
			 525  | 
		
| 
			 2015. 12. 31.  | 
			
			 7,699  | 
			
			 1,164  | 
			
			 671  | 
		
| 
			 2016. 12. 31.  | 
			
			 7,366  | 
			
			 923  | 
			
			 779  | 
		
| 
			 2017. 12. 31.  | 
			
			 7,836  | 
			
			 1,405  | 
			
			 827  | 
		
| 
			 2018. 12. 31.  | 
			
			 9,257  | 
			
			 1,382  | 
			
			 1,214  | 
		
| 
			 2019. 12. 31.  | 
			
			 9,244  | 
			
			 1,882  | 
			
			 1,072  | 
		
| 
			 2020. 12. 31.  | 
			
			 11,733  | 
			
			 1,850  | 
			
			 804  | 
		
| 
			 2021. 12. 31.  | 
			
			 15,593  | 
			
			 2,842  | 
			
			 485  | 
		
| 
			 2022. 12. 31.  | 
			
			 15,563  | 
			
			 4,790  | 
			
			 406  | 
		
| 
			 2023. 12. 31.  | 
			
			 13,317  | 
			
			 4,204  | 
			
			 353  | 
		
자료 : 대법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