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최동민기자] 원구성 문제는 더 이상 논의대상이 아니다.
우리 당이 추구했던 것은 소수야당으로서 최소한의 정부여당 견제장치 확보였지, 상임위원장 몇 자리 확보하는 문제가 아니었다.
야당으로서의 최소한의 견제장치였던 법사위원장은 이미 여당이 가져갔고, 도로 무를 낌새도 전혀 안보인다.
남은 상임위원장 7개를 우리가 맡느냐 마느냐는 논의 대상으로서 의미가 없다. 가져와도 그만, 민주당이 독식해도 그만, 야당으로의 손발은 이미 잘린 상태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관심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사항은 민주당의 '합의처리 원칙' 약속이다.
21대 국회 4년 국회운영을 하는 데 있어서 국회법의 대원칙인 '여야 교섭단체간 협의 운영'의 취지를 살려서, '상임위,예결위,법사위,본회의 운영에 있어서 법안,예산안 등 모든 안건을 여야 합의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민주당이 야당에게 약속하고 국민 앞에 공표하는 것이다.
민주당이 이렇게 한다면 우리 당이 원구성을 마무리하고,국회운영을 정상화하는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가 국회의 조속한 정상화와 의회민주주의 존중, 21대 국회 4년 동안 원만한 국회운영에 의지가 있다면, 이 안에 대해 우리 당 지도부와 협의해줄 것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