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성태 의원(자유한국당, 서울강서을)이 한국자유총연맹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15~‘19.8) 자유총연맹 성명서 배포내역’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박종환 총재 취임 후 ‘북핵·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규탄성명’이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정감사에서 김성태 의원은 “북한이 지난 5월 4일 이후 최근까지 모두 11차례 미사일을 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민주주의 수호 의지가 가장 강력하게 담겨있어야 할 단체인 자유총연맹이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해 입장문 하나 내지 못하는 건 심각한 문제다”라며, “자유민주주의 수호 의지가 없으면 총재가 그 자리에 있을 이유가 없다”라고 질책했다.
자유총연맹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본 결과, 자총은 2006년 이후(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한 기간) 역대 모든 정권에서 북한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대해 강력한 규탄의 메시지를 내온 것으로 조사됐다. 노무현 정권 때도 북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강력한 응징의 메시지는 변함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노무현 정권 시기인 ’06년 하반기에 총 7건의 규탄성명을 냈음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자유총연맹은 평화통일을 준비하면서도, 북한의 위협에 대해서는 앞장서서 강력한 입장을 내왔었다. 이는 노무현 정권 때도 마찬가지였다”라며 “대한민국 대통령에 대해 북한이 막말 비난을 할 때도 자총은 강력한 비난의 목소리를 내왔으나, 현 총재 취임 후에는 북한의 막말에 대해서 한 마디도 못하고 있다.”며 지적했다.
자유총연맹은 올 1월 보도자료를 통해 “환경이 곧 경제이고, 국리민복의 실천적 과제로서 북한 나무심기와 숲 가꾸기 운동을 자총의 역점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북핵, 미사일 도발에 대해서는 침묵하면서, 방북해서 북한에 나무심기 캠페인을 집중사업으로 하겠다는 게 지금 박종환 총재가 만들어놓은 자유총연맹의 현 모습이다”라며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