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돼지열병 확산 관련
지난 17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확인된 후 추가 발병 사례가 잇달아 나오고 있습니다. 어제는 인천 강화군에서 여섯 번째 돼지열병 확진 농장이 나왔고, 연천군의 농장에서도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100% 가까운 치사율에 현재로선 치료제도 없는 이 병의 위험성을 정부는 심각하게 인식해야 합니다. 통합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범정부 대책지원본부’ 단계인 현재의 대응 체제를 최고 단계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하는 방안까지 적극 검토해야 합니다.
정부의 방역 체계에 구멍이 있었던 게 아닌지 우려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48시간 이동중지 명령 등 조치에도 불구하고 추가 발병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24일 돼지열병 양성이 확진된 강화 지역은 정부의 기존 중점관리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곳이었습니다. 이미 방역대가 뚫렸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해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확진 사례가 경기 서북부 지역에 한정돼 있으니 좀 더 지켜보자고 하는 건 무책임한 행정입니다. 여러 확진 농장에 같은 차량이 드나들었다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잠복기에 차량이 전국의 농장을 돌면서 바이러스를 퍼트렸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만에 하나 돼지열병이 전국으로 확산될 경우 양돈농가, 그리고 사료‧식육‧가공식품 등 전‧후방 산업 전반이 재앙 수준의 타격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다소 과도하다 할 만큼의 비상한 대응을 해주기 바랍니다.
아울러, 반복되는 축산 감염병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도 중요합니다. 감금틀에서 동물을 사육하는 방식을 벗어나 보편적 동물복지축산 기준을 마련해 축산 시스템 전환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또한 살처분에 참여한 지역 공무원들의 트라우마 치료 지원 방안도 적극 마련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