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

가정의 달 특집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 어버이날, 우리 부모님 건강은 내가 지킨다!

- 50대 고혈압·당뇨병, 60대 치아, 70세 이상 치매 주의·관심 필요 -

 

<주요 내용>

 

 

 

 

< 부모님 연령대별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 >

 

[50] 여러 질병으로 병원을 찾는 시기! 고혈압·당뇨병, 백내장, 퇴행성관절염 주의!

(고혈압·당뇨병) 고혈압 50대 환자 수 17323(40대 대비 126.5% 증가)

당뇨병 50대 환자 수 808825(40대 대비 121.4% 증가)

(백내장) 50대 환자 수 209974(40대 대비 324.6% 증가)

(퇴행성 관절염) 50대 환자 수 91905(40대 대비 184.4% 증가)

 

[60] 치아 집중관리 시작이 필요한 시기, 임플란트에 주목!

(임플란트) 6569세 환자 수 265830(70세부터 환자 수 감소 추세)

 

[70세 이상] 급격히 증가하는 치매 주의!

(치매) 70세 이상 환자 수 471929(60대 대비 1208.8% 증가)

(틀니) 70대 환자 수 142699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어버이날(5.8)을 맞아 부모님들이 건강한 노년생활을 위해 미리 대비하고 주의해야 할 질병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한 해 50대 이상 환자들은 1인당 6.68개의 주요 질병으로 병원을 방문했고, 70세 이상 환자들은 다른 연령에 비해 더 다양한 질병으로 진료를 받았다.


연령별 1인당 주요 질병 개수는 70세 이상이 7.77개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6.69개, 50대 5.49개 순이었다.
* 298질병분류 기준(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그림1] 2018년 연령별 1인당 주요 질병 개수 (의료기관방문 기준) : 붙임 참조
 

2018년 의료기관·약국을 방문한 환자 수는 50대가 857만 759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597만 3817명), 70세 이상(490명 4252명) 순이었다.
○  1인당 진료비는 ‘70세 이상’이 478만6652원으로 가장 높았고,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6.8%로 다른 연령에 비해 더 많이 증가했다.

[1] 연령대별 진료현황 비교
(단위천 명억 원,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가율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50
8,578
136,110
1,586,808
6,264
70,350
1,123,064
3.6
7.6
3.9
60
5,974
154,496
2,586,218
4,099
73,912
1,803,230
4.3
8.5
4.1
70세 이상
4,904
234,749
4,786,652
3,043
80,512
2,645,597
5.4
12.6
6.8

 
50대
50대 연령에서 40대 연령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입원은 ‘노년백내장(H25)’이 675.8%로 가장 높고 '무릎관절증(M17)' 418.6%, '기타 척추병증(M48)' 254.4% 순이었다.
외래에서는 ‘무릎관절증(M17)’ 267.6%로 가장 높았고, ‘본태성 고혈압(I10)’, '2형 당뇨병(E11)' 순이었다.

[2] 2018년 50대 연령에서 증가율이 큰 질병 현황
(단위천명, %)
구분
순위
질병코드
질병명
환자수
50대 증가율
(40대 대비)
입원
1
H25
노년백내장
44
675.8
2
M17
무릎관절증
26
418.6
3
M48
기타 척추병증
29
254.4
4
S52
아래팔의 골절
16
200.2
5
I63
뇌경색증
13
185.9
외래
1
M17
무릎관절증
637
267.6
2
I10
본태성(원발성고혈압
1,674
126.4
3
E11
2형 당뇨병
728
123.6
4
E78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676
110.9
5
M75
어깨병변
678
70.9

※ 다빈도 질병 30순위의 증가율로 순위를 산정함


이에 50대에서 주의해야하고 관리가 필요한 ‘고혈압과 당뇨병’, ‘퇴행성 관절염’, ‘백내장’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했다.


<  50대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①, 고혈압·당뇨병 >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의 절대적인 환자 수는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나 50대에 접어들며 진료 받은 환자 수가 각각 126.5%, 121.4%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3] 2018년 고혈압당뇨병 연령구간별 증가율
(단위: %)
구분
2018년 이전 연령대 대비 증가율
40대 → 50
50대 → 60
60대 → 70세 이상
고혈압
환자수
126.5
7.8
9.6
진료비
135.8
15.4
75.5
당뇨병
환자수
121.4
13.7
1.8
진료비
119.5
19.9
49.1


고혈압 진료를 받은 50대 환자 수는 173만 23명으로, 40대 환자 수 보다 96만 6093명(126.5%↑) 더 많았으며, 당뇨병은 80만 8825명으로 이전 연령인 40대 보다 44만 3421명(121.4%↑) 더 많았다.


50대 환자의 질병별 1인당 진료비는 고혈압이 12만2452원이며 당뇨병 환자는 22만6883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50대의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2.6%, 4.9%이고 1인당 진료비는 1.6%, 2.0% 증가했다.

[4] 고혈압당뇨병 연도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단위천 명억 원,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가율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고혈압
40
764
898
117,609
754
760
100,681
0.1
1.9
1.7
50
1,730
2,118
122,452
1,375
1,460
106,190
2.6
4.2
1.6
60
1,864
2,445
131,149
1,460
1,729
118,357
2.7
3.9
1.1
70세이상
2,043
4,291
209,983
1,368
2,557
186,928
4.6
5.9
1.3
당뇨병
40
365
836
228,811
306
549
179,752
2.0
4.8
2.7
50
809
1,835
226,883
528
1,002
189,862
4.9
7.0
2.0
60
920
2,200
239,110
581
1,219
209,773
5.2
6.8
1.5
70세이상
937
3,280
350,125
465
1,422
305,720
8.1
9.7
1.5
 
성별은 50대 남성이 여성보다 1.3배, 1.7배 더 진료를 받았다.
[그림2] 2018년 고혈압, 당뇨병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 붙임 참조
 
                
<  50대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②, 백내장 >
노년 백내장을 포함한 전체 백내장의 환자 수는 50대에 들어서며 40대 보다 324.6%로 큰 폭 증가했다.
[5] 2018년 백내장 연령구간별 증가율
(단위: %)
구분
2018년 이전 연령대 대비 증가율
40대 → 50
50대 → 60
60대 → 70세 이상
백내장
환자수
324.6
117.7
38.9
진료비
287.5
79.8
57.9
 
백내장 진료를 받은 50대 환자 수는 20만 9974명으로, 40대 환자 수 보다 16만 518명(324.6%↑) 더 많았으며, 1인당 진료비는 55만273원으로 나타났다.
[6] 백내장 연도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단위천 명억 원,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가율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백내장
40
49
298
602,854
37
165
451,407
3.4
6.8
3.3
50
210
1,155
550,273
114
427
374,531
7.0
11.7
4.4
60
457
2,077
454,444
341
1,291
378,457
3.3
5.4
2.1
70세이상
635
3,279
516,344
454
2,071
456,342
3.8
5.2
1.4
 
성별은 50대 여성이 남성보다 1.4배 더 진료를 받았다.
[그림3] 2018년 백내장 성별 연령대별 환자 수 : 붙임 참조
 
<  50대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③, 퇴행성 관절염 >
퇴행성 관절염의 환자 수는 70세 이상이 가장 많지만, 이전 연령 대비 증가율은 50대가 184.4%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7] 2018년 퇴행성 관절염 연령구간별 증가율
(단위: %)
구분
2018년 이전 연령대 대비 증가율
40대 → 50
50대 → 60
60대 → 70세 이상
퇴행성 관절염
환자수
184.4 
31.1 
9.6 
진료비
401.9 
130.0 
41.1 
 
퇴행성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50대 환자 수는 91만 905명으로 40대 보다 59만 602명(184.4%↑)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진료비는 23만4189원이었다.
[8] 퇴행성 관절염 연도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단위천 명억 원,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가율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퇴행성
관절염
40
320
425
132,694
343
377
109,776
-0.8
1.3
2.1
50
911
2,133
234,189
695
1,261
181,472
3.1
6.0
2.9
60
1,194
4,906
410,844
845
2,656
314,357
3.9
7.1
3.0
70세이상
1,308
6,922
529,099
814
2,905
356,709
5.4
10.1
4.5

 
전체 연령대에서 여성 환자 수가 남성 환자에 비해 더 많았으며,  50대 여성 환자는 남성에 비해 2.2배 더 많이 진료를 받았다.
 
[그림4] 2018년 퇴행성 관절염 성별 연령대별 환자 수 : 붙임 참조
 
 
60대
60대 연령에서 이전 연령(50대)에 비해 증가율이 높은 질병은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K08)’ 증가율이 234.7%로 가장 많았고, ‘노년백내장(H25)’, '기타 척추병증(M48)' 순이었다.


임플란트 시술은 현재 65세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고 65세∼69세의 환자들이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다.
※ 65세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64세 이전의 진료현황을 알 수 없으나, 70세 이후부터는 환자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임
※ 임플란트 건강보험 급여 확대 연령 : (’14년, 급여신설) 75세 이상, (’15년) 70세 이상, (’16년) 65세 이상

[그림5] 임플란트 연도별 연령대별 환자 수 : 붙임 참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환자 수가 늘고 있으며, 2018년에 65∼69세 환자 수가 26만 5830명으로 가장 많은 치료를 받았다.


그 이후 70세∼74세에서는 이전에 비해 36.4% 감소했다.
65세∼69세에서의 금액은 전체 금액의 45.9%를 차지했고 1인당 금액은 118만6036원으로 나타났다.

[9] 임플란트 연도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단위백만원)
구분
2018
환자수
금액
1인당 금액
임플
란트
6569
265,830
315,284
1,186,036
7074
169,170
196,313
1,160,450
7579
103,574
122,453
1,182,276
80세 이상
44,263
53,162
1,201,055

 
임플란트는 성별로 큰 차이 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림6] 2018년 임플란트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 붙임 참조
 
70세 이상
70세 이상에서는 이전 연령(60대)에 비해 증가율이 높은 질병은 다음과 같다.


입원은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F00)’ 증가율이 2,516.5%로 가장 많았고 '기타패혈증(A41)' 701.9%, '대퇴골의 골절(S72)' 634.9% 순이었다.


외래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F00)’ 증가율이 1,271.9%로 가장 많았고, ‘기타 장치의 부착 및 조정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Z46)’, '기타 척추병증(M48)' 순이었다.

[10] 2018년 70세 이상 연령에서 증가율이 큰 질병 현황
(단위천명, %)
구분
순위
질병코드
질병명
환자수
70세이상 증가율
(60대 대비)
입원
1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111
2,516.5
2
A41
기타 패혈증
24
701.9
3
S72
대퇴골의 골절
40
634.9
4
I50
심부전
23
605.6
5
G20
파킨슨병
24
526.9
외래
1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329
1,271.9
2
Z46
기타 장치의 부착 및 조정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469
108.6
3
M48
기타 척추병증
793
52.3
4
K08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
680
48.3
5
H25
노년백내장
489
32.8

※ 다빈도 질병 30순위의 증가율로 순위를 산정함
※ ‘기타 장치의 부착 및 조정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Z46)’ 하위 질병 중 ‘치과보철 장치의 부착 및 조정을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Z463)’이 대부분을 차지


70세 이상에서는 치매 환자수가 60대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고 치과 관련 질병의 증가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  70세 이상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①, 치매 >
치매는 70세에 들어서며 이전 연령(60대)에 비해 환자 수 증가율이 1208.8%로 급격히 증가한다.

[11] 2018년 치매 연령구간별 증가율
(단위: %)
구분
2018년 이전 연령대 대비 증가율
40대 → 50
50대 → 60
60대 → 70세 이상
치매
환자수
709.6 
446.5 
1208.8 
진료비
931.7 
425.6 
2448.2 

 
치매 환자 수는 50대 이후로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치매로 병원을 방문한 70세 이상의 환자 수는 47만 1929명으로 60대 보다 43만 5870명(1208.8%↑) 더 많아 압도적으로 증가했다.


또한, 1인당 진료비가 381만1840원으로 가장 높았다.
  

2009년 대비 지난 10년간 환자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15.2%로 크게 증가했다.

[12] 치매 연도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단위천 명억 원,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가율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환자수
진료비
1인당
진료비
치매
50
7
134
2,035,644
5
70
1,341,959
2.6
7.5
4.7
60
36
706
1,957,794
24
341
1,404,689
4.5
8.4
3.8
70세이상
472
17,989
3,811,840
132
3,561
2,698,747
15.2
19.7
3.9

 
성별로 보면 70세 이상에서는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2.7배 더 많았으나 50대, 60대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림7] 2018년 치매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 붙임 참조
 
< 70세 이상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②, 틀니 >
틀니 시술은 65세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되고 70대 환자들이 가장 많이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건강보험 급여기준 확대: (’12년, 급여신설) 75세 이상, (’15년) 70세 이상, (’16년) 65세 이상


2018년 70대 환자 수는 14만 269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65∼69세) 7만 1,891명, 80대 이상은 6만 1,990명 순으로 나타났다.
70대의 금액은 전체(65세 이상)의 51.9%를 차지하였고 1인당 금액은 143만7848원으로 나타났다.

[13] 틀니 연도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단위백만원)
구분
2018
환자수
금액
1인당 금액
틀니
6569
71,891
102,798
1,429,922
70
142,699
205,179
1,437,848
80세 이상
61,990
87,208
1,406,808

 
성별로는 큰 차이 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림8] 2018년 틀니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 붙임 참조
 
심사평가원 김현표 빅데이터실장은 “심사평가원이 어버이날을 맞아 분석한 ‘부모님 연령대별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을 참고하여 부모님의 건강을 미리 챙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모님이 고혈압·당뇨병으로 병원을 방문 할 때에는 심사평가원의 ‘고혈압’, ‘당뇨병’ 평가결과를 참고하면 의료기관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고혈압당뇨병 적정성 평가 결과 확인 경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www.hira.or.kr 병원·약국 병원평가정보
○「건강정보이동통신(모바일앱 병원평가정보


※ 자료 분석 기준
○ 건강보험 심사결정분 기준(심사일 기준)
○ 질병통계는 요양기관에서 청구한 주상병을 기준으로 작성함(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5), 약국 및 한방상병 제외)
고혈압·당뇨백내장퇴행성 관절염치매
○ 진료행위통계는 전자매체 및 전자문서 청구분을 대상으로 함(서면 및 DRG 제외) 
임플란트틀니
○ 질병별 심사현황은 환자진료 중 진단명이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의 호소증세에 따라 일차 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함으로써 실제 최종 확정 진단명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진료시점 만(滿)나이를 기준으로 연령 산출함
○ 환자수는 동일 환자가 여러 번 진료를 받은 경우 중복 제거한 진료인원으로
연령질병을 달리하여 환자수를 단순 합산하여 사용할 수 없음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