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뉴스

서울시, 조선총독부 건물‘서울 돌’ 아픈 역사 딛고‘3.1독립선언광장 주춧돌’로

- 조선총독부 건물 잔재 돌, ‘서울 돌’로 귀환…3.1독립선언광장 주춧돌로 활용
- 24일 독립기념관→안성3.1운동기념관→이은숙선생 옛집터→서울시청으로 이동
- 25일 서울시청에서 태화빌딩으로…‘돌의 귀환 및 3.1독립선언 광장 조성 선포식’
-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일환, 아픈 역사를 극복하고 3.1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거듭날 것

[서울/박기순기자]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서울 돌이 돌아온다. 창신동 채석장에서 채굴

돼 조선총독부 건물에 쓰였던 서울 돌은 이제 인사동 태화관터에 조성될 ‘3.1독립선언 광장의 주

춧돌로 쓰이게 될 예정이다. 식민의 아픈 역사를 극복하고, 3.1독립운동을 기리는 서울 돌로 거듭

나게 되는 것이.

 

서울시는 ‘3.1운동 100주년 서울시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224일과 25일에 걸쳐 박원순 서울시장과

독립운동가 이은숙 선생의 손자인 이종걸 국회의원, 윤봉길 의사의 장손인 윤주경 선생 등이 참석하는

돌의 귀환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돌의 귀환독립기념관에 보관되어온 조선총독부 건물 잔재 돌을, 태화관터에 조성될 ‘3.1독립선언 광

의 주춧돌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로,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극복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1926년 준공된 조선총독부 건물은 역사 바로 세우기의 일환으로 1995년 철거돼 일부 잔재가 천안

독립기념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서울시는 조선총독부 건물에 쓰인 돌이, 창신동 채석장에서 채굴된

것으로 판, 독립기념관에서 이 돌을 인계 받아 서울 돌로 등록하고, ‘3.1독립선언 광장의 주춧돌

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종로구청, 태화복지재단,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KB국민은행 등 민관 협

력을 통해 태화빌딩 앞에 오는 4월에 착공해 8월에 준공될 ‘3.1독립선언 광장, ‘서울 돌뿐만 아니

라 카자흐스, 하얼빈 등 해외 주요 독립운동 10개 지역의 돌을 각 지역 한인회의 협력으로 옮겨와

조성될 계획이다.

이는 세계 각국에 우리나라가 독립국임을 널리 알린 3.1운동의 취지를 되살리고, 3.1운동에 대한 우

리 국민과 해외 교민들의 뜻을 하나로 모아 광장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특히 3.1독립선언 광장 조성 취지에 공감한 KB국민은행(은행장 허인)에서 최대 1억원을 후원할 예

정으, 후원금은 해외 각국의 돌을 발굴하고 운반하는 비용에 쓰이게 된다.

 

돌의 귀환행사는 224()부터 이틀에 걸쳐 이뤄지는데, 첫날인 24일은 서울 돌을 독립기념관

에서인계 받아 안성 3.1운동 기념관과 독립운동가 이은숙 선생 옛집터를 거쳐 서울시청에 도착하는 것

으로 진행된.

 

이날 오전 9시에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 앞 광장에서는 윤봉길 의사의 장손인 윤주경 선생과 서해성

3.1100주년 서울시 기념사업 총감독,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독립기념관 조범래 전시부

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돌을 인계 받는다.

 

독립기념관에서 출발한 서울 돌은 안성 3.1운동기념관 만세광장에 도착해 강맹훈 도시재생실장이

독립운동가 이덕순 선생의 딸 이인규 선생에게 서울 돌을 전달하게 된다. 이덕순 선생은 안성 지역

에서 3.1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독립운동가로 지난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서훈을 받은 바 있다.

 

이후 서울 돌은 안양시 만안구 냉천로에 위치한 독립운동가 이은숙 선생의 옛집터에 도착해 이은

숙 선생의 손자인 이종걸 국회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전달식을 갖고, 서울시청으로 향하게 된다.

은숙 선생은 우당 이회영 선생의 아내로, 평생 독립운동을 지원해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 서훈을

받았다.

 

이날 오후 3시 박원순 시장과 시민들이, 이종걸 국회의원 등과 함께 서울시청사 로비에 도착하는

을 맞이하고, 공식적으로 이 돌을 서울 돌로 등록, 시청사 로비에 1일간 전시될 예정이다.

 

둘째 날인 25() 오후 3서울 돌은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과 함께 태화빌딩으로 이동,

영종 종로구청장, 태화복지재단 전명구 대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박남수 상임대

, 창신동 주민과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돌의 귀환 및 3.1독립선언 광장 조성 선포식을 개최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이후 서울 돌은 태화빌딩에서 보관, 전시될 예정이며, 오는 8월에 조성될 ‘3.1독립선언 광장에 쓰이

게 된.

 

돌의 귀환행사를 기획한 서해성 3.1운동 100주년 서울시 기념사업 총감독은 조선총독부 건물에 쓰인

돌을 서울 돌로 명명하고, 3.1독립선언 광장의 주춧돌로 활용하는 건 다시는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

겠다는 다짐을 담고 있다.”“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독립선열들의 숭고한 뜻을 되새기고, 아픈 과거를

잊지 않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에 돌아온 서울 돌은 식민의 아픈 과거를 극복하고 우리나라 독립을 상징하는 돌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며 “3.1독립선언 광장을, 독립선열들의 숭고한 뜻을 기념하는 기억의 광장이자 과거와

현재, 미래세대를 잇는 소통의 광장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