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박기순기자] 서울시가 혹한, 폭설이 집중되는 겨울철을 맞아 15일(목)부터 내년 3월 15일(금)까지 4개월
간 한파, 제설, 화재·사고, 보건·환경, 민생 5대 분야에 대한 「2018년 겨울철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이 기간동안 서울시, 25개 자치구, 6개 도로사업소, 시설공단 등 총 33개 기관에서 24시간 ‘재난안전대책
본부’를 운영해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고, 폭설 발생 등 긴급상황 및 피해예방에 대비하고 신속한 복구지원
에 나선다.
특히, 최근 종로구 고시원 화재사고(11.9.)가 있었던 만큼, ‘화재예방’과 ‘취약계층 보호’에 총력을 기울일 예
정이다.
우선, 서울시내 고시원을 비롯해 재난취약시설 총 7,515곳(고시원 5,840곳, 안전취약시설 1,675곳)에 대해 11
월 12일부터 내년 2월까지 전수조사하고,
소방공무원과 건축구조 분야 전문가들로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화재와 안전취약시설을 점검하며, 주요 점
검사항은 화재경보기, 스프링클러 등 화재관련시설 설치여부 및 작동상태, 건축물 균열 등 상태점검 및 구
조적 안전성 판단에 따른 보수보강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이른 추위가 예상됨에 따라 노숙인과 쪽방주민에 대한 보호대책을 예년보다 보름 앞
당긴 11월 1일부터 추진하며, 거리노숙인에게 제공되는 침낭도 600개로 확대하는 등 취약계층 보호를
강화한다.
주요 대책으로는,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등 에너지바우처 지급범위를 확대하여 중증질환자와 희귀난치성
질환자에게도 지원하고, 보훈대상자 및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지급되는 월동대책비는 작년 대비 1.1억원을 늘
린다.(’17년 15만3천가구, 76.5억원 ⇒ ’18년 15만5천가구, 77.6억원)
에너지바우처 지원은 ‘소득기준’과 ‘가구원특성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에게 난방 에너지원을 선택적으
로 구입·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한다.(1인 가구 86천원, 2인 가구 120천원, 3인이상 가구 145천원)
[에너지바우처] ※ 지원대상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가구원특성기준] 수급자(본인) 또는 세대원이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18년 신설) ※ 신청/사용기간 : (신청) ’18.10.17.~’19.1.31. / (사용) ’18.11월~’19.5월 |
올 겨울 강추위와 많은 눈이 예상됨에 따라 제설대책도 강화한다. 취약지점 초동제설을 위해 자동액상살
포 장치를 확대 설치하고(신규 9개, ’17년 51개소⇒’18년 60개소), 제설제의 최소·과다 살포 방지를 위해 강설량
과 강설시간대를 고려하여 제설제 살포기준을 새로이 마련한다.
이밖에, 고농도 (초)미세먼지에도 적극 대응한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예상 시부터 해제 시
까지 상황실을 운영하며,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언론보도, SMS문자 발송 등 시민들에게 상황을 즉
각 전파하고, 공공기관 주차장 전면 폐쇄, 노후 공해차량 운행을 제한하는 등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
감조치에 나선다.
’18.11월부터는 비상저감조치 발령기준이 강화되었으며, PM-2.5 농도 기준으로 아래 요건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될 경우 발령된다.
요건 | 당일농도 | 다음날 예보 |
1 | 0~16시 평균 농도가 50㎍/㎥ 초과 | 24시간 평균 농도가 50㎍/㎥ 초과 예측 |
2 | 0~16시 사이 경보권역 중 한 곳 이상 주의보 또는 경보 발령 | 24시간 평균 농도가 50㎍/㎥ 초과 예측 |
3 | - | 24시간 평균 농도가 75㎍/㎥ 초과 예측 |
비상저감조치 발령여부는 당일 17시에 결정되고, 17시 15분에 발표 및 전파되며, 적용시간은 다음날 06시
~21시이다.
또한, 강설시 특별수송대책, 겨울철 먹거리 안전대책, 낙엽․연탄재 청소대책, 폭설․한파 대비 서민물가
안정대책 등 각 분야별로 세부대책을 수립하고, 한파, 제설, 재난화재 등 주요 분야에 대해서는 상황실을
운영하여 시민안전을 확보하고 불편을 최소화해 나갈 방침이다.
| 분야별 비상근무체계 구축(상황실 운영) | |
| | |
○ 재난안전대책본부 : 기상상황별 비상근무 실시, 초동 제설작업 지휘통제 등 ○ 상수도 비상급수대책 상황실 : 동파위험 단계별 상황처리 등 ○ 소방안전대책 상황실 : 재난화재 구조‧구급 상황 접수, 출동지령 관제 등 ○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상황실 : 상황전파, 주차장 폐쇄, 공해차량 운행제한 등 ○ 청소대책 상황실 : 쓰레기 수거 실태, 자치구별 제설지원 상황 파악 등 |
겨울철 교통정보는 서울시 홈페이지, SNS, 모바일앱, 도로전광안내표지판, 버스정보안내단말기 등 온·오프라
인 매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120다산콜센터는 겨울철 대책 추진기간 특별운영하여 기상상황, 수도,
교통정보 등 생활정보를 상담한다.
강태웅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종로 고시원 화재 등 주거 빈곤층 재난이 반복되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며
“이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올해 종합대책은 ‘취약시설 화재예방’과 ‘취약계층 보호’에 주력하였으며, 서
울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5대 분야별 추진사항
분야 | 주요내용 | 실·본부·국 |
한파대책 | ○ 한파 상황관리체계 구축 ○ 한파 취약계층 보호대책(노숙인, 쪽방주민 등) ○ 사회적 배려대상자 에너지복지 지원 ○ 동파․동결 대비 급수대책 | 안전총괄본부 *총괄 복지본부 기후환경본부 상수도사업본부 |
제설대책 | ○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 제설준비 및 점검 ○ 선제적 대응체계확립 및 신속제설 ○ 시민참여 통한 방재거버넌스 활성화 ○ 강설시 교통대책 ○ 강설시 대시민 홍보대책 ○ 폭설시 청소대책 | 안전총괄본부 *총괄 안전총괄본부 안전총괄본부 안전총괄본부 도시교통본부 도시교통본부 등 기후환경본부 |
화재․사고 대책 | ○ 겨울철 화재예방 ○ 산불예방 및 가스 등 유류시설 관리 ○ 기타 시설물 안전관리(공사장, 교통·공원시설물 등) | 소방재난본부 *총괄 소방재난본부 도시기반시설본부 등 |
보건․환경 대책 | ○ 고농도 (초)미세먼지 대응 ○ 겨울철 보건의료 대책 ○ 감염병 예방 및 방역활동 강화 ○ 약수터 등 먹는샘물 안전관리 ○ 시민 먹을거리 안전관리 ○ 구제역·AI 등 가축 전염병 차단 ○ 겨울철 청소대책 | 기후환경본부 시민건강국 *총괄(보건) 시민건강국 시민건강국 시민건강국 시민건강국 기후환경본부 |
민생대책 | ○ 겨울철 서민물가 안정대책 ○ 에너지 안정공급 및 절감대책 | 경제진흥본부 기후환경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