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진승백기자) 울산시는 경북도와 공동으로 지난 2015년 12월 요청한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과 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8월 2일 ‘TFT발족 실무협의회’를 개최하고 검토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내로 연구개발특구위원회에서 ‘연구개발특구2.0 발전전략’을 확정하고 8월 말경 TFT를 발족할 예정이다.
발전전략에는 소형특구 모델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소형특구는 특구 지정요건 및 절차완화, 특구지정 면적을 축소하여 대학, 병원, 공기업 등 지역 핵심 거점을 중심으로 소규모 특구를 지정, 조성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개발특구내에서 분야별 규제완화 특례를 인정하는 법 개정을 통해 규제를 획기적으로 완화하는 신기술 테스트 베드 제도 도입 등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TFT는 20명 내외로 혁신분과와 기반분과로 나누어 구성되며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게 된다.
한편 동해안 연구개발특구는 자동차, 조선, 철강, 소재 등 지역주력산업이 성숙기에 도달함에 따라 울산, 경주, 포항 일원 23.1㎢(700만 평)의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처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것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동해안특구본부가 설치되고 연간 100억 원 정도의 연구비가 지원되며 대학, 연구소, 지역 기업체에 R&BD를 지원하게 된다.
또한 산업 및 연구시설용지 개발 사업 시행자에게는 부담금 감면 및 세제가 지원되며, 외국인 투자기업 및 외국연구기관에 대한 세제, 자금 지원, 외국인학교 설립 (부지, 건축) 및 운영에 필요한 자금지원도 가능해져 외투기업 유치 및 국내 기업유치가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이 생산중심의 제조업기반 산업도시에서 생산과 연구가 함께하는 미래형 도시로 탈바꿈하는 기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특구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울산시는 경북도와 공동으로 과기정통부에서 구성하는 TFT에 적극 참여는 물론 특구가 지정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