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14.9℃
  • 맑음서울 12.3℃
  • 맑음대전 10.8℃
  • 구름많음대구 13.7℃
  • 맑음울산 13.2℃
  • 맑음광주 13.7℃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2.0℃
  • 맑음제주 16.0℃
  • 맑음강화 9.3℃
  • 구름조금보은 8.8℃
  • 맑음금산 9.6℃
  • 구름조금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대구 팔거산성서 신라 '석축성벽' 초기형식 첫 확인

국가유산청, 사적 '팔거산성' 3차 조사 성과 공개
신라시대 성벽 축조 방식 규명 단초 확보
국가유산청

[한국방송/문종덕기자] 신라 석축성벽의 초기형식이 대구 팔거산성 발굴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13일 대구광역시 북구청과 함께 발굴조사를 진행중인 사적 '대구 팔거산성'에서 외벽 상부와 내벽을 비슷한 높이에서 서로 등지고 쌓아 올린 '협축식 성벽 구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구 팔거산성은 함지산(287m) 정상부에 위치한 '테뫼식' 산성으로 2023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이 산성은 신라가 고구려·백제와 대치하던 5세기 이후 서라벌 서쪽 최전방인 팔거리현(달구벌)에 수도 방어선을 구축하기 위해 축조한 석축산성으로, 신라 국방체계의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신라시대 목간 출토된 대구 팔거산성 2021.4.28(사진=(c) 연합뉴스))


앞선 1·2차 조사에서는 목조집수지, 건물터, 수구, 서문터(현문), 곡성1 등 다수의 성곽시설과 함께 목간·토기가 출토돼 학계의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조사는 2차 조사에서 확인된 서문지와 곡성1의 서북측으로 이어지는 2151㎡구간의 체성부(성벽 몸체) 조사를 중점적으로 실시해 체성, 곡성, 박석 등 주요 석축시설을 새로 확인했다.

 

체성은 최소 2차례 이상 축조된 것으로 확인됐으며, 신라시대 성벽 상부 위에 고려시대 개축 흔적이 중첩돼 있으나 개축부는 대부분 붕괴된 상태다.


대구 팔거산성 초축 체성 내벽 전경(북→남) (사진=국가유산청)

 

초축 체성의 외벽 하부는 편축식, 상부는 협축식으로 조성됐으며 하부는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는 반면 상부는 1~3단만 남아있다. 

 

체성 내벽은 외벽 상단보다 약 1m 높은 지점에 형성돼 있으며 외벽 상부와 내벽을 비슷한 높이에서 서로 등지게 구축해 협축식 성벽을 완성한 구조는 신라 석축성벽의 초기형식으로 확인됐다.

 

외벽 하부는 길이 약 46m, 최고 높이 6.3m, 경사도 약 40°의 '허튼층 뉘어쌓기' 방식이며 내벽은 길이 약 55m, 높이 2.4m, 경사도 약 50°의 같은 방식으로 축조됐다.

 

외벽 평면은 '一'자형이지만 내·외벽 전체 평면은 '凸'자형으로, 내벽 중앙부 두께가 약 14m에 이르며 양쪽 끝으로 갈수록 7m로 좁아져 곡성으로 이어진다.

 

이는 함지산 곡부 지형에서 성벽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판단된다.

 

또한 체성 외벽 하부와 내벽, 곡성2 등 초축 성벽 일대에서 2.3~2.7m 간격의 세로 구획선이 뚜렷하게 확인됐으며, 외벽에서만 14개가 확인됐다.

 

이를 통해 성곽 축조 당시 집단별로 구간을 분담해 축조하고 경계 부위는 상호 협력한 방식이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체성에 사용된 자색이암과 응회암은 함지산에서 쉽게 채석 가능한 재료로, 일부 구간에서 자색이암만을 사용한 구역이 명확히 드러나 한 집단이 채석·운반·축조까지 단일 공정을 책임지는 책임시공 방식이 적용됐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13일 오후 2시 발굴 현장에서 현장설명회를 실시한다.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자세한 사항은 화랑문화유산연구원(054-746-1370)으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대구광역시 북구청과 협력해 조사 성과를 구체화하고 유적의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발굴성과를 국민과 전문가에게 지속적으로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042-481-4989)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