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문종덕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24일 "사회적 대화, 토론을 제도화한 사회협약으로 돌아가는 국가였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성동구 상상플래닛에서 열린 '제1차 K-토론나라: 미래대화 1·2·3'을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오늘 아침 의대생 문제 때문에 정책 논의를 했는데, 누가 잘하고 잘못하고를 떠나서 '2000명 딱 일방적으로 해'라고 하는 방식으로 세상이 돌아가는 때가 지나지 않았냐"며 이같이 말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서울 성동구 상상플래닛에서 열린 제1차 K-토론나라 '미래대화 1·2·3'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7.24. (ⓒ연합뉴스)
김 총리는 "어떻게든 의논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계속 바뀌어야 한다"고 말하며 "사회적 대화, 토론 그걸 제도화한 사회 협약으로 돌아가는 그러한 국가였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 유럽에 있는 복지국가라는 걸 만들 때 노동계와 정부를 포함해서 소통을 많이 했고 우리나라도 김대중 대통령 시절 노사정이 했고, 이후 원전 이런 문제를 논의할 때 사회적인 공론화위원회도 했다"며 "저희도 그런 걸 하자고 했는데, 핵심적 차이를 만들기 위해 청년들이 논의의 주체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자리에 모인 청년들을 향해 "사실 연금, 저출생, 결혼, 주거 등 미래 대화 자리에 10대, 20대, 30대가 제일 많아야 한다"며 "그 문제의 실제 당사자가 되는 세대인데 막상 이 문제를 논의할 때 그 세대는 적정한 비율만큼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K-토론나라는 우리 사회가 가진 많은 문제를 앞으로 토론으로 풀어보자, 해결을 못해도 어떤 문제가 있는 걸 드러내자는 것"이라고 행사에 대해 소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많은 토론이 있겠지만, 어떤 토론이든 당사자가 '나'라고 생각하는 문제는 그 당사자도 참여할 수 있게 하자는 게 핵심"이고 "여기서 나온 지혜를 갖고 앞으로 여러 문제를 풀 때 제가 국무총리로서 국무총리로서 많은 문제를 풀 때 이런 방법으로 접근하면 괜찮겠구나 하는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총리는"오늘은 그런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자리"라며 첫 토론나라 개최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
앞서 김 총리는 지난 8일 첫 30일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사회적 대화 플랫폼 'K-토론나라'를 격주 단위로 운영해 주요한 국정과제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이해를 높이고 사회적 대화와 협약의 기초를 닦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