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진승백기자] 한미 국방부 장관이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전환) 후에도 주한미군과 연합군사령부를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전작권 환수 후에도 지금과 같은 형태의 한미연합사를 유지하면서 사령관은 한국군 대장, 부사령관은 미군 대장이 맡는 ‘미래 연합지휘구조’에도 합의했다.
한미 국방부 장관은 31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제 50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전작권 전환 이후 적용되는 연합방위지침을 공표했다. 또 한국군 주도의 미래연합사 편성안을 최종 승인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이날 펜타곤(미 국방부 청사)에서 ‘연합방위지침’과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 기본문 수정 1호’, ‘미래지휘구조 기록각서(MFR)개정안’, ‘한국 합참-유엔사-연합사간 관계관련약정(TOR-R)’ 등 4건의 전략 문서에 서명했다.
전작권 전환과 관련된 이들 문서는 올해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에서 합의된 것으로 이날 최종 승인됐다. 국방부는 이 가운데 연합방위지침은 올해 제50차 SCM을 감안, 향후 50년 이상의 한미 동맹의 미래를 상정하고 작성한 문서라고 설명했다.
지침에는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다른 공약의 상징으로 주한미군은 한반도에 계속 주둔하며 대한민국에 대한 방위공약을 확고히 이행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한반도에서 무력분쟁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해 온 유엔군사령부를 지속 유지하고 지원하며 한국 합참, 연합군사령부, 주한미군사령부, 유엔군사령부 간의 상호 관계를 발전시킨다’는 점도 포함됐다.
국방부 측은 “연합방위지침은 전작권 전환 이후 한미 연합방위체제의 방향을 제시하고,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대외에 공표함으로써 국민들의 안보우려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MFR 합의를 통해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현재와 유사한 연합사령부 구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주한미군의 현 전력수준도 계속 유지되는 가운데 미래 연합사령부에서는 한국군 4성 장성이 사령관을, 미군 4성 장성이 부사령관을 맡는다.
이는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된 전작권 환수 이후 한국군 주도의 연합사령부 편성 논의를 양국 국방장관이 서명한 문서로 확정된 것이다. 현재 연합사령부는 미군 대장(주한미군사령관)을 사령관으로 하고 한국군 대장이 부사령관을 맡고 있다.
또 내년도에 미래 연합지휘체계의 기본운용능력(IOC) 평가를 시행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연합방위력을 지속 유지하는 가운데 전작권 전환 조건의 조기 충족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미는 또 올해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통해 조성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국방차원에서 뒷받침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특히 9.19 남북군사합의서가 실질적 긴장완화 및 평화정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이행과정에서 한미 국방당국간 긴밀한 공조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안보상황 변화 속에서도 굳건한 한미동맹이 양국 안보에 핵심 요소임을 재확인하면서 내년도에 미래 한미동맹 국방비전을 공동 연구하기로 합의했다.
국방부 측은 “이 연구는 향후 안보환경 변화를 고려해 동맹의 국방분야 협력을 한층 더 상호보완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공동의 비전을 담아 작성한다”며 “제51차 SCM에서 연구결과를 보고받고, 양국 국민들에게도 설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