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체주소 구축) 고가도, 지하도, 지하철역 등 우선 대상 ◇ (주소정보산업 지원) 실내 내비게이션 등 5대 분야* 주소사용 모델 개발보급, 기업과 소통창구 마련지원 * 실내 내비게이션, 사물인터넷, 드론 배송, 자율주행로봇 배송, 자율주행차 주차 ◇ (주소정보서비스 혁신) 주소정보 공유 빅데이터* 구축제공 추진 * 舊 주소(지번, 블럭롯트 등), 별칭(상호, 건물명칭 등), 가상주소(코드, 약어 등) |
한편, 조대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단장은 토론회에 참석하여 주소정보*는 도시를 이루는 근간(프레임워크 데이터)으로 차세대 스마트시티에 맞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함을 강조하며, ‘스마트시티와 주소정보의 미래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 기초번호, 도로명주소, 사물주소, 국가기초구역 등
김대영 카이스트(KAIST) 교수는 스마트시티의 각종 도시정보에 주소기반 국제표준코드(GS1) 적용으로 도시정보가 서로 연계될 수 있다고 제안하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산업군*의 창출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
* 주소정보산업(주소정제.인증.변경, 주소정보유통플랫폼서비스, 주소시설관리, 드론.로봇 배송, 사물인터넷, 실내 내비게이션 등 첨단기술 융합서비스)
박성호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새로운 주소체계가 도입됨에 따라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가 기대된다.”며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맞춰 입체주소가 단순한 위치정보 수단을 넘어 새로운 서비스 창출의 원동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