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중국 군용기 1대가 29일 제주도 서북방에서 ‘카디즈(KADIZ·한국방공식별구역)’를 침범해 강릉 동쪽 상공까지 북상했다 이탈했다. 중국 군용기가 우리 카디즈를 넘어온 것은 올해만 여섯 번째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중국 군용기는 오전 10시 3분께 제주도 서북방에서 카디즈를 최초 진입한 뒤 10시 37분께 이어도 동방으로 이탈했다. 이후 JADIZ(일본방공식별구역) 내측으로 비행하던 중국 군용기는 11시 48분께 포항 동방 약 50마일(93km)에서 다시 KADIZ에 진입, 북쪽으로 기수를 돌렸다.
북쪽으로 기수를 돌린 중국 군용기는 강릉 동방 약 50마일(93km)까지 이동한 뒤 12시 13분께 남쪽으로 선회, 진입한 경로를 따라 오후 3시 2분께 최종 이탈했다. 카디즈 진입 등 전체 5시간의 비행 중 카디즈에 체공했던 시간은 2시간 정도로 우리 영공 침범은 없었다.

우리 군은 제주도 서북방 지역의 미상 항적 포착부터 F-15K와 KF-16 등 공군 전투기 10여 대를 긴급 투입해 추적과 감시비행, 경고 방송 등으로 대응했다.
방공식별구역은 미식별 항적을 조기 식별해 영공침범을 방지하고자 국가별로 임의로 설정한 구역으로 영공과는 다른 개념이다.
중국 군용기의 카디즈 진입은 올해 들어 6번째다. 앞서 8월 29일, 7월 27일, 4월 28일, 2월 27일, 1월 29일에도 중국 군용기가 카디즈에 진입한 바 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어도 주변 공역은 카디즈와 JADIZ, CADIZ(중국방공식별구역) 등 세 나라의 방공식별구역이 중첩되는 곳이다. 중국 군용기가 카디즈를 자주 진입하는 이유는 한미 연합전력의 대응태세를 살펴보는 등 자국의 정찰 능력을 강화하는 목적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군용기의 카디즈 침범과 관련해 외교부 동북아국장은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 또는 진옌광 부대사를 초치, 카디즈 진입에 대해 유감 표명을 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역시 중국무관을 불러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