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한용렬기자)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일본, 싱가포르, 캐나다 정부와 삼성전자, LG전자,
인텔, 에릭슨, 노키아 등 모바일 글로벌 제조업체는 2017년 6월 11일부터 6월
12일까지 캐나다 나이아가라 폴스에서 개최된 제2차 “28㎓ 이니셔티브
워크숍”에서 28㎓ 대역(26.5~29.5㎓) 5G 글로벌 시장 확산을 위한 공조방안
에 합의하였다.
“28㎓ 이니셔티브 워크숍”은 한국, 미국, 일본 정부 관계자와 산업체가 5G
상용화 주파수로 추진 중인 28㎓ 대역의 글로벌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협의체로서 제1차 워크숍(‘16.12.14)이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바 있다.
이번 제2차 워크숍에서는 이미 28㎓ 대역 이용계획을 발표한 한·미·일
3국 정부 외에 캐나다, 싱가포르 주파수 정책담당자와 표준화기구, 제조업체
30여명이 참석하여 28㎓ 주파수 대역 이용 확산 방안을 논의하였다.
28㎓ 대역은 미국이 2016년도에 버라이즌과 AT&T 등 주요 이통사에 상용화
주파수로 공급하였고, 우리나라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5G 시범
서비스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일본 또한 2020년에 개최될 도쿄 올림픽에서
5G 시범서비스를 목표로 28㎓ 대역의 5G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금년 초 발표된 “K-ICT 스펙트럼 플랜”을 소개하고 2017년 말까지
28㎓ 대역 기술기준 초안을 마련할 계획임을 밝히는 등 국제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미국·일본과 기술기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로 하였다.
또한, 28㎓ 대역을 “5G 프론티어 대역(Frontier Band)”으로 명명하고 5G
생태계 구축을 통해 글로벌 시장 확산을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유럽의
“5G 파이오니어 대역(Pioneer Band)”인 26㎓ 대역(24.25~27.5㎓)과 함께 3GPP
에서 연내 주파수 밴드플랜으로 완료될 예정이다.
아울러, “28㎓ 이니셔티브 워크숍” 운영을 위한 전체적인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워크숍 발표 자료의 이력관리,
28㎓대역의 시범서비스 현황과 5G 기술에 대한 최신동향 제공 등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온라인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정부 관계자 및
산업체 간 정보 공유 및 홍보 확산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국립전파연구원 유대선 원장은 “한·미·일에 이어 캐나다, 싱가포르 등
28㎓ 대역을 이용하려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고, 5G 글로벌 생태계 구축
촉진을 위해 주요국들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다져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제3차 “28㎓ 이니셔티브 국제워크숍”은 올해 12월 초 일본 도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