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서비스 4년 간 퇴사자 1941명, 연간 이직률 14%

  • 등록 2019.04.04 00:39:38
크게보기

지난 3월 전봇대 작업 중 뇌출혈 사고 등 높은 노동강도가 주원인으로 분석

[한국방송/박기택기자] 최근 전화, 인터넷, IPTV 등을 설치, 수리업무를 담당하는 KT서비스 소속 노동자가 전봇대 작업 중 뇌출혈로 쓰러졌다. 해당 노동자는 아현화재 직후 MBC 피디수첩에 직접 출연해 추락사고 등 KT의 열악한 작업환경을 고발했던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했다.

 

과방위 김종훈 국회의원(민중당, 울산동구)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실제 회사설립 후 4년 동안 1941명이 퇴사하는 등 연간 14.3%의 높은 이직률을 보였다. 2016년에는 퇴사자가 694명으로 입사자 626명을 넘어섰고, KT서비스 남부의 경우에도 2018년 퇴사자가 199명으로 입사자 154명보다 많았다.

 

KT2016년 퇴사인력과 관련해 “KT서비스북부에서 2014KT 명예퇴직 인력 중 일부가 2년 계약직 수행 후 동시 계약종료 되어 일시적으로 증가됐다(116)”고 해명했다. , “동종업계 평균 이직률 20%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지만 추가 요청한 해당 근거자료는 의원실로 제출하지 않았다.

 

하지만 KT가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비정규직 늘리기에 공을 들였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례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종훈 의원도 황 회장이 2014년 취임 하자마자 8300여명을 해고하고 일부를 자회사 비정규직으로 전환한 실태를 재확인한 것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KT서비스노조가 파악한 산업안전사고 내역은 위험의 외주화를 더욱 구체적으로 지적한다. 노조 측 자료에 따르면 2017년과 20182년 간 사망사고는 각각 2, 4건으로 총 6건에 달했다. 추락사망이 3건으로 가장 많았고, 감전사와 돌연사 심지어는 고객으로부터 피살된 경우도 있었다.

김종훈 의원은 한해 수백명씩 퇴직과 입사를 반복하는 KT서비스 자료에도 드러나듯이 높은 노동강도의 직무는 자회사를 설립해 넘기는 등 황 회장 경영전반에 문제점들이 드러났다결국 효율을 앞세워 노동자들을 마치 기계부품처럼 바꿔가며 경영하는 것 아닌가라고 질타했다.

 

, “KT아현화재가 안전과 위험의 외주화라는 경영상의 문제임을 상임위에서 수차례 지적했지만, 3월초 또 다시 노동자가 뇌출혈로 생명까지 위협받는 등 KT현장의 위험들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17일 과방위 KT청문회에서 해당 내용을 바로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기택 기자 ilsun36@hanmail.net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