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우울과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로 진료받은 10대 청소년의 숫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정부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16~2018년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질환 진료 현황’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10대는 37,233명으로 2016년 22,538명에 비해 무려 14,695명(65.2%)이나 증가했으며, ▲‘불안장애’ 진료인원도 2018년 18,220명으로 2016년 14,126명보다 4,094명(29%)이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는 2016년 1,966명에서 2018년 2,928명으로 2년새 962명(48.9%) 증가했고,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는 같은 기간 10,370명에서 12,919명으로 2,549명(24.6%) ▲‘수면장애’는 4,167명에서 4,811명으로 644명(15.5%) ▲‘식사장애’는 591명에서 697명으로 106명(17.9%) ▲‘강박장애’는 3,049명에서 3,390명으로 341명(11.2%) ▲‘습관 및 충동장애(분노조절장애)’는 1,217명에서 1,237명으로 20명(1.6%) ▲‘화병’은 508명에서 616명으로 108명(21.3%) 증가했다.
이에 대해 박경미 의원은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고민,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있는 우리 청소년들이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존의 위(Wee)프로젝트 뿐 아니라 모바일 상담 등 청소년들이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 상담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책을 다각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 1] 2016~2018년 10대 청소년의 건강보험 정신질환 진료 현황
구분  | 진료실인원(명)  | 진료비(천원)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우울증  | 22,538  | 25,656  | 37,233  | 12,871,474  | 15,055,769  | 27,360,632  | 
불안장애  | 14,126  | 14,994  | 18,220  | 3,894,925  | 4,542,674  | 6,269,280  | 
수면장애  | 4,167  | 4,196  | 4,811  | 1,029,234  | 1,038,107  | 1,500,587  | 
식사장애  | 591  | 661  | 697  | 738,012  | 821,512  | 929,512  | 
강박장애  | 3,049  | 3,133  | 3,390  | 1,993,568  | 2,032,644  | 2,404,853  | 
공황장애  | 1,966  | 2,229  | 2,928  | 704,535  | 901,135  | 1,243,959  | 
화병  | 508  | 558  | 616  | 126,993  | 167,303  | 232,889  |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 10,370  | 11,048  | 12,919  | 3,086,117  | 3,482,732  | 4,566,869  | 
습관 및 충동장애 (분노조절장애)  | 1,217  | 1,150  | 1,237  | 675,318  | 758,319  | 849,93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