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효과적인 화학사고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한 ‘충주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를 충북 충주시 호암동 충주종합운동장내에 설치하고, 30일 개소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박천규 환경부 차관, 이종배 국회의원(충북 충주)을 비롯해 이장섭 충북도 정무부지사, 조길형 충주시장, 소방청 구조구급국장, 중앙119구조본부장 등 지자체와 행안부․산업부․고용부 및 소방청 등 관계부처에서 참석한다.
충주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충북과 강원 지역의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을 담당하는 범정부 협업조직으로,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소방청, 충북도 및 충주시 등에서 각각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57명, 5개 팀*으로 구성 운영된다.
* 환경부(환경팀), 소방청(119화학구조팀), 고용노동부(산업안전팀), 산업부(가스안전팀), 충북도 및 충주시(지자체팀)
충주 화학재난합동방제센터는 평소에는 사고 예방을 위해 취급업체의 합동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각 부처별 소관법령*에 따라 사업장 안전관리 임무와 사고대비 관계부처 합동훈련을 실시한다.
* (환경팀)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영업허가와 취급시설 검사 등 (119화학구조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시설기준 준수여부 (산업안전팀) 산업안전보건법 준수여부 및 공정안전관리제도(PSM) 심사․확인 (가스안전팀)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준수여부 확인
또한 화학사고 시에는 관계기관간 즉각 사고상황을 공유하고, 화학물질 독성정보 확인, 피해범위 예측 등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화학사고에 대한 전문적‧효과적인 대응과 복구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 (환경팀) 사업장 취급물질 확인 및 대응정보 제공, 사고현장 탐지 및 분석 (119화학구조팀) 초동대응(인명구조, 방재활동), 사고현장 지휘 (산업안전팀) 조업중단, 산재지원, 사고원인조사 (가스안전팀) 고압‧독성가스 유출시 기술지원 (지자체) 주민대피, 사고대응 인력‧장비 지원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부처별 화학사고 예방ㆍ대응 기능을 신속하게 집결하여 공동 대응하기 위해 전국 6개 주요 산단 지역(구미․서산․익산․시흥․울산․여수)에 설치하였으며,
2013년 12월 구미에서 첫 번째 센터가 개소된 이래, 관계기관 합동지도․점검 총 992회, 화학사고 대응 합동훈련 총 507회를 실시하여 지역 화학사고의 효과적 예방* 및 대응**에 기여하였다.
* 화학사고 발생건수(’15→’17) : 합동방재센터 전담구역 28% 감소 ⇔ 전국 23% 감소
** 30분(골든타임) 이내 현장 도착율(’17) : 합동방재센터 전담구역 92.3% ⇔ 전국 32.1% (환경부 기준)
아울러, 부처별로 관리하던 사업장 지도․점검을 합동으로 실시하여 안전은 담보하면서도 기업부담을 최소화* 하고, 민‧관 합동 대피 훈련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안전관리 강화 및 불안해소에도 기여**하였다.
* 합동방재센터 관할구역내 종합만족도(지역주민‧사업자) 증가 : 76.5점(’14)→79.1점(’16)
** 지역주민의 65.9%, 기업체의 83.9%가 “합동방재센터가 화학안전에 기여하였다”고 응답(‘16)
그간 충북․강원지역은 약 1,700여개 화학물질 취급업체가 입주하여 국내 화학물질 유통량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학재난 대응 전문기관이 없고, 기존 센터와도 멀리 떨어져 있어 신속하고 전문적인 사고 초동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다.
* 국내 화학물질 유통량 558,592천톤 중 충북․강원지역 53,940천톤 차지(’16)
충주합동방재센터 관계자는 “이번 충주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개소로 효율적인 사업장 안전관리와 관계부처 합동 사고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충북‧강원 지역의 화학 안전수준이 한층 향상되고 지역주민들도 보다 안심하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