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총 67개 사업에 1천649억 원 규모로 지난해에 비해 8개 사업, 221억 원의 예산이 증가한 것이다. 청년정책 시행계획 분야별 담당부서는 4. 5일 14시 개최되는 「청년정책TF」(단장 : 김승수 행정부시장) 1차 회의에서 시행계획에 대해 보고하고 올해 청년정책 추진의 방향성을 공유하고 추진의지를 다질 예정이다.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일자리·주거·문화예술 등 청년과 관련되는 여러 부서의 청년정책을 총괄하여 수립하는 계획으로 대구시는 2016년부터 매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청년정책을 총괄 조정하고 있다.
시는 ‘청년정책 시행계획’ 추진을 위해 관련부서를 팀원으로 하는 「청년정책TF」를 구성하여 정기적인 회의를 갖고 추진성과를 점검·평가하고 있다. 3년째 운영되고 있는 「청년정책TF」는 타 시·도는 시행하지 않는 대구만의 청년정책 추진체계로서 여러 부서로 흩어져 있는 청년정책 추진부서간 협업과 연계, 시너지효과를 제고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청년정책 시행계획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는, 청년의 사회진입 단계·경로별 지원 시범사업 추진과 「민·청·관 협업TF」를 통한 청년 희망 도시공동체 거버넌스의 운영이라 할 수 있다.
청년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가 학업기에서 직업기로의 전환, 즉 사회에 진입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과정에 대한 어려움이라고 보는 대구시는 기존의 청년정책에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사회진입 단계와 경로별 다양한 시범사업을 올해 처음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사회진입 단계·경로별 지원 시범사업은 단순한 일자리확보차원에서 탈피하여 청년들의 다양한 경험과 도전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1단계) ‘상담·연결’, (2단계) ‘진로탐색’, (3단계) ‘다양한 실험·도전 지원’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으로,
시범사업 경과와 성과는 현재 대구시가 대구의 특성을 반영하고 청년의 계층별·생애이행단계별 지원 방안으로 준비중인 「대구형 청년정책」에 반영하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는 「청년정책TF」 각 분과별로 민간전문가와 청년*이 참여하는 「민·청·관 협업TF」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 청년위원회 해당분과 분과장 및 청년단체 대표 등
「민·청·관 협업TF」는 市 내부 「청년정책TF」를 민간으로 확장하는 형태로서 「대구형 청년정책」 수립과 시행, 평가를 추진하며, 청년문제와 청년정책에 대한 전 세대·계층을 아우르는 공감대 확산 역할도 수행함으로써 대구시가 ‘청년 희망 도시공동체’로 나아가는데 기여할 것이다.
「청년정책TF」 단장인 김승수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때마침 4. 5일 식목일에 청년정책TF의 올해 첫 회의를 갖게 되었다. 심은 뒤 바로 결과를 볼 순 없지만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나무심기처럼, 대구의 밝은 미래를 위해 청년의 삶을 북돋우고 응원하는 마음으로 올해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수립·발표하였다”면서, “올 한해 ‘청년정책 시행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으로 청년이 살기 좋은 대구로 한걸음씩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