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많이 이용한 전자정부 서비스 홈택스, 정부24, 건강보험 순

  • 등록 2021.03.23 13:10:02
크게보기

- 행정안전부, 「2020년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
- 코로나19 영향으로 정부24 이용률 지난해 대비 26.7%p 증가 -

[한국방송/윤화기자]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2020년 전자정부 서비스의 인지도, 이용률, 만족도 등을 조사한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 한 해 동안 국민 10명 중 9명 정도가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했고, 이용 국민의 98.1%가 서비스에 만족했으며, 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민이 많이 이용한 전자정부 서비스는 홈택스(86.5%), 정부24(84.1%), 국민건강보험(65.9%) 순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정부24 이용률이 전년에 비해 26.7%p 증가했다.

인지도95.7%, 이용률88.9%, 만족도98.1%로 조사되어, 전년에 비해 각각 1.9%p, 1.3%p, 0.3%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대로 보면 이용률은 10가 가장 높았고, 만족도는 20가 가장 높았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인 60대 이상의 인지도는 전년에 비해 9.3%p 상승한 79%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010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전국 만16~74세 국민 4천 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면접조사, 온라인조사 등을 병행하여 실시

 

구분

연도

전체(%)

연령대(%)

16-19

20-29

30-39

40-49

50-59

60-74

인지도

2020

95.7

100.0

100.0

100.0

100.0

99.9

79.0

2019

93.8

100.0

100.0

100.0

100.0

99.3

69.7

이용률

2020

88.9

100.0

99.1

99.7

99.4

88.0

59.2

2019

87.6

98.7

99.1

98.6

95.5

84.9

58.1

만족도

2020

98.1

96.3

99.7

98.4

97.6

98.0

96.8

2019

97.8

97.1

98.1

97.2

98.6

97.8

97.7

국민이 많이 이용한 전자정부 서비스는 홈택스(86.5%), 정부24(84.1%), 국민건강보험(65.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 대표 포털인 정부24는 전년에 비해 26.7%p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공적마스크 대리구매 시 필요한 주민등록등·초본 등 전자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 많은 국민이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에 따라 이용률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 서비스도 있었다. 교육 관련 서비스10대와 40대가, 취업 관련 서비스20대와 30대가, 육아 관련 서비스30대와 40대가, 여행 관련 서비스 50대 이상에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명

2019이용률(%)

2020이용률(%)

2020년 연령대별 이용률(%)

16-19

20-29

30-39

40-49

50-59

60-74

홈택스

97.2

86.5

58.5

73.8

90.0

91.5

88.2

92.7

정부24

57.4

84.1

78.5

80.3

87.8

85.6

82.3

86.1

국민건강보험

68.8

65.9

32.0

48.7

67.5

73.4

74.1

67.9

레츠코레일,SRT

77.6

58.2

48.1

67.7

51.3

54.3

63.8

58.3

워크넷

-

38.4

49.6

57.4

39.9

31.6

35.0

24.9

나이스

12.2

32.9

45.2

34.3

30.9

38.4

26.1

29.1

대한민국구석구석

36.1

31.6

24.8

27.0

30.4

29.6

38.3

36.5

청약홈

-

19.8

8.0

11.9

24.4

23.0

20.7

21.7

Q-Net(큐넷)

-

14.3

22.9

23.4

14.5

12.6

10.7

9.0

아이사랑

20.3

13.2

4.6

1.9

30.4

14.7

8.7

9.1

전자정부 서비스를 알게 된 경로는 인터넷 검색(52.8%), 가족·지인(50.7%), 언론매체(42.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넷 검색(52.8%)전자정부 홍보자료(22.3%)는 전년에 비해 각각 6.9%p, 11.1%p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대로 보면 40대 이하에서는 인터넷 검색이나 광고·배너, 블로그와 SNS 등을 통해 인지했다고 응답한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가족과 지인, 관공서 직원 등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답했다.

인지경로

2019이용률(%)

2020이용률(%)

2020년 연령대별 이용률(%)

16-19

20-29

30-39

40-49

50-59

60-74

인터넷에서 직접 검색

45.9

52.8

71.4

64.5

65.8

56.7

45.4

25.8

가족·지인을 통해서

53.5

50.7

52.5

44.1

40.9

50.8

55.5

61.4

언론매체(TV,라디오,신문)

40.6

42.5

38.8

42.5

42.7

44.7

42.6

40.2

관공서 직원을 통해서

37.3

34.9

18.7

26.6

32.6

37.6

38.8

42.7

인터넷 광고·배너·링크

26.8

22.5

31.5

28.3

26.9

24.8

18.2

11.7

전자정부 홍보자료

11.2

22.3

8.0

22.2

27.0

25.8

21.6

17.8

이동광고 및 옥외광고

24.8

16.1

15.9

19.7

18.8

16.5

16.7

8.0

블로그 및 SNS

6.6

8.4

11.2

13.8

10.5

7.4

6.6

3.2

더불어 2020년에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전자정부 서비스의 이용실태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지급 서비스의 인지도95.4%, 이용률73.8%로 조사되어 다른 서비스에 비

해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9개 카드사와 협력하여 1개월 만에 전 국민의 99.5%에게

원금을 지급한 것이 조사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구분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지급

확진자 동선 제공·확인

공적마스크 재고 알림

자가진단 및 자가격리

원격교육

인지도

95.4

85.4

87.1

79.0

73.5

이용률

73.8

58.3

54.2

34.3

22.8

연령대에 따라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도 달랐다. 자가진단 서비스와 원격교육은 10대가, 확진자 동선

과 공적마스크 재고 알림 서비스30대가,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지급 서비스30대 이상에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명

2020이용률(%)

2020년 연령대별 이용률(%)

16-19

20-29

30-39

40-49

50-59

60-74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지급

73.8

46.9

61.7

84.0

82.2

79.6

67.3

확진자 동선 제공·확인

58.3

61.9

62.1

64.4

62.6

60.2

42.8

공적마스크 재고 알림

54.2

54.3

61.5

64.8

59.8

53.1

35.0

자가진단 및 자가격리

34.3

40.7

36.6

38.1

38.7

35.7

22.0

원격교육

22.8

69.9

35.8

22.6

24.9

14.0

7.9

정부는 올해 국민이 전자정부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하도록 행정·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민간인증서 적용을 확대하는 등 디지털 정부혁신을 역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주현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정책과장은 정부는 지난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온라인으로 신청받아 신속히 지급하고, 공적마스크 판매데이터 개방으로 마스크 대란조기에 해소하는 등 코로나19 위기극복에 전자정부 기반을 적극 활용하였다.”,


올해는 국민비서 서비스, 마이데이터,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을 추진 중이고, 이번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국민에게 더욱 편리한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더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 대표 누리집(mois.go.kr)에 게시된 ‘2020년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실태 조사 결과자료에서 확인 가능

윤화 기자 tianye1712@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