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접속 가구 비율 세계 1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발표한 2015년 정보통신기술발전지수 세계 1위 등의 통계에서 보듯이 한국은 명실 공히 정보통신 인프라 강국이다.
그러나 어두운 그림자도 있다. 작년 한 해 발생한 사이버범죄가 총 14만여 건에 달하는 등 범죄자들도 잘 닦여진 인프라를 활용해 공격하고 있는 것이다.
남북의 대치상황도 빼놓을 수 없는 사이버 상의 커다란 위협요소다. 경찰은 지난 2009년 7·7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2011년 3·4 디도스 공격, 2013년 3·20 사이버테러, 6·25 사이버테러, 2015년 한수원 자료유출 사건 등의 수사를 통해 그 배후에 북한이 있다는 점을 밝혀낸 바 있다.
올해 초 청와대 사칭 악성 이메일 발송사건도 악성코드 동작 방식 및 접속 IP 대역 등을 과거 사례들과 비교분석한 결과 북한의 소행임이 확인됐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꾸준히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최근 들어 장시간에 걸쳐 목표의 취약점을 분석한 후 은밀하고 지속적인 공격을 벌이는 사이버테러 유형들이 나타나고 있고 공격 대상도 정부·방송·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에너지·교통 등 ‘한시도 기능이 마비되어서는 안 되는’ 주요 기반시설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 |
경찰청은 지난 8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본청 사이버 안전국에서 공공·민간분야 주요 기반시설 관계자들과 사이버테러 예방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사이버안전국은 그간 북한발 사이버테러 사건 수사로 파악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특징과 주의사항을 등을 전달했다. |
이에 경찰은 지난 3월 8일, 공공·민간 주요 기반시설의 보안담당자들과 함께 사이버테러 예방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다양한 수사 경험에서 축적된 사이버테러 유형, 공격 기법 등에 대한 경찰의 정보를 공유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사소한 징후에도 방심하지 말고 긴밀한 협력으로 함께 대응해 나가자는데 뜻을 같이 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세계적인 암호학자 브루스 슈나이어(Bruce Schneier)는 “보안은 사슬과 같아서 가장 약한 고리만큼만 안전하다”고 말한다. 빈틈을 아무리 잘 막더라도 단 한 곳의 구멍을 막지 못한다면, 결국 전체 시스템의 보안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공공기관들이 민간 분야와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사이버 보안 정책의 절대적인 명제다. 최근 사이버 공간에서의 공공과 민간 분야 간 연계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어느 한 지점의 피해도 인터넷 망을 통해 급속히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명물인 금문교는 몇 개의 굵은 선이 아닌, 2만 7572개의 가는 케이블들이 모여서 그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고 한다. 협력의 힘은 이처럼 위대한 것이다. 민·관의 각 기관들이 긴밀한 공조 아래 건실한 사이버보안 체계를 구축한다면 정보통신 인프라 강국의 명성이 비로소 ‘사이버보안 강국’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