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의원, 중소기업 취업 청년의 소득세 감면 기회 확대 추진

  • 등록 2019.07.04 11:53:29
크게보기

현행법 상, 중견⇒중소기업으로 기업 규모 줄어도 중기 취업자로 인정 못받아

근로계약일 기준으로 재직여부 판단하는 현행 규정 개정

[한국방송/김진희기자]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중소기업 취업 청년의 소득세 감면 기회를 확대하는「조세특례

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명백히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임에도제도 상의 허점으로 소득세 감면 혜

택에서 제외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현행법은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 취업의 제고를 위해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경우 취업일로부터 5년간

소득세의 90%를 감면해주고 있다.

 

이에 소득세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취업일(근로계약을 체결한 일자)”상 중소기업에 고용되어 있어야 한다가령 한 청

년이 처음부터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5년여간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으면(타 중소기업 이직 포함), 그 기간 동안 소득

세를 감면받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입사는 ‘중견기업’에 하였으나이후 경영환경 악화로 소속기업이 ‘중견⇒중소기업’으로 규모가 줄어 “중소기

업 재직자”가 된 청년은소득세 감면을 받지 못한다소득세 감면 조건으로 (청년이근로계약을 체결한 일자에 중소

기업에 재직 중”이어야 하기 때문에근로계약 체결 이후 기업 규모가 변동되더라도그 사정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

다 (*2015~2017년간 중견⇒중소기업 변동 86개사).

 

이에 개정안은청년이 취업일(근로계약 체결일)에 중견∙대기업에 고용되었더라도 재직기업의 규모가 중소기업으로 축

소되었을 경우중기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제도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김상훈 의원은,“경제가 어렵고기업하기 어려운 지금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청년은 애국역군으로 존중해주어도 모자람

이 없다”며,“그런데 현행 취업일 기준은‘정책적 소외자’를 양산할 소지가 너무 크다”고 지적하고,“금번 개정안 또한 실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한 청년의 애로사항을 바탕으로 발의한 바하루빨리 법안이 통과되어 현장의 청년 취업자에게 작

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희 기자 kbo47@hanmail.net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