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식 의원, ‘황색 신호 딜레마존’위험 해소를 위한 「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 등록 2025.11.26 11:27:55
크게보기

급제동·추돌사고 유발하는 ‘딜레마존’ 법적 정의·관리 기준 최초 마련
“예비 정지선” 도입으로 운전자 판단권 보장… 교통안전 강화·사고 예방 전기 마련 기대
국정감사에서도 국토부·한국교통안전공단 상대로 제도개선 촉구… “현실 반영한 개선책 마련 절실”

[한국방송/진승백기자]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경남 통영시·고성군)은 26일(수), 황색 신호 전환 시 운전자의 급제동·추돌사고를 유발하는 이른바 ‘딜레마존’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합리적인 정지 ‧ 통과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은 「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도로교통법」은 황색 신호 시 ‘정지선 직전 정지’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실제 도로에서는 차량 속도·제동거리·노면 상태 등에 따라 제동 여부의 판단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현 제도는 이러한 현실적 여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안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실시한 실험에서는 50km/h 주행 시 약 2.5초, 100km/h에서는 10초 이상의 정지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현재 교차로의 황색신호는 약 3초로 설정되어 있어 규정과 실제 운전 조건 간 간극이 크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돼 왔다.

 

최근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 현실에서 운전자가 처하는 물리적·환경적 한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과 논란이 제기되긴 했지만 황색신호로 막 전환된 상황에서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도 신호위반으로 볼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즉, 황색신호 변경 시 운전자가 정지선에서 반드시 멈춰야 한다는 기준을 사실상 강조한 것으로, 이를 실제 도로 상황에 맞게 구현할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정점식 의원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해 이를 법제화할 방안을 마련했다.

 

그 결과 이번 개정안에는 ▲‘딜레마존’ 및 ‘예비 정지선’의 법적 정의 신설, ▲예비 정지선 표시·관리 기준 마련, ▲황색 신호 시 예비 정지선을 기준으로 한 정지·진행 기준 명확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교차로 설계 개선, ▲차량감지 장치, ▲잔여시간 표출기 등 ‘딜레마존 방지시설’ 도입 근거도 함께 담았다.

 

정점식 의원은 지난 2025년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를 집중 제기한 바 있다.

 

국토교통부 장관(10.13)을 상대로 딜레마존 위험성 존재에도 법률상 정의·관리 기준이 전무하다는 점을 언급하며, 대법원 판결로 운전자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교차로별 교통량·제동거리·접근속도 등을 반영한 ‘예비 정지선’ 제도 도입 등 국토부가 경찰청과 협력하여 조속히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교통안전공단(10.16)에 대해서는 “교통안전 연구기관으로서 경찰청·국토부와 협력해 딜레마존 실태 분석 및 제도 도입의 실효성을 높일 연구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하였다.

 

동 법안을 대표발의한 정점식 의원은 “대법원 판결과 현실 사이 괴리를 해소하고 교통신호 체계를 운전자의 실제 환경에 맞게 개선하는 것은 국민 안전과 직결된 일”이라며, “딜레마존 문제는 운전자가 누구나 겪는 위험 구간인 만큼, 예비 정지선 도입 및 기술적 대응 강화를 통해 사고 예방과 교통 흐름 개선을 이끌어내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정감사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을 제도화한 이번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제도화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며 의지를 표명했다. 

 

 

 

 

 

 

 

 

 

 

 

 

진승백 기자 pansy48@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