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성과 코로나19 여파,“자영업자 소득만 줄었다”

  • 등록 2022.03.23 20:28:37
크게보기

국내 최초로 자영업자, 근로소득자 등 전 국민 실제 소득 전수 분석!
文정부 들어 근로자 평균소득은 매년 증가, 자영업자 평균소득은 매년 감소
코로나 이후 자영업자 소득불평등도(지니계수, 소득5분위) 역대급 증가!
‘마이너스 소득’ 자영업자 연간 28만명 육박, 文정부 들어서 10만명 늘어

[한국방송/이광일기자] 국민의힘 서울정책연구원 원장 유경준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전 국민의 소득세 원자료를 제출받아 「전 국민 소득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개인들의 전수 데이터를 가지고 우리나라 전 국민의 소득을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경준 의원이 발표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세전 평균소득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자영업자의 세전 평균소득은 지속해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임금근로자의 세전 평균소득은 20173,687만원, 20183,858만원, 20193,930만원

으로 지속 상승했고, 코로나 발생 이후인 2020년에도 4,025만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임금근로자 평균 소득 증가율 2017~2018(4.63%)2018~2019(1.87%)2019~2020

(2.42%))


반면, 소득이 있는 자영업자들의 개인 기준 세전 평균소득2017 2,247만원, 20182,225

, 20192,208만원으로 감소했고,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2020년에도 2,183만원으로 감소세가 계

속됐다. 이는 2017년 이전의 자영업자 사업소득이 증가추세에 있던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다.

(자영업자 평균 소득 감소율 2017~2018(-0.98%)2018~2019(-0.76%)2019~2020

(-1.13%))

 

이러한 자영업자의 평균소득은 손실를 보거나 소득이 없는 이른바 마이너스 소득자영업자를 제외

한 수치라 코로나 이후 자영업자들의 실제소득 감소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코로나 이후(2020년 기준) 사업으로 손실을 보거나 소득이 없는 자영업자는 28만여명에 달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18만명에 비해 10만명이 증가했고, 201922만명에 비해 약 6

명 증가한 수치다.


유경준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고용되어 있는 임금근로자들의

평균소득은 증가했지만, 자영업자의 부담은 가중돼 손실이 컸다는 것이 구체적인 통계로 증명됐다

, “여기에 코로나로 인한 피해까지 더해졌는데도 문 정부는 제대로 된 손실보상을 하지 않고 있

작년(2021)과 올해(2022) 자영업자 붕괴가 더욱 가속화됐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제대로 된 자영업자 손실보상이 이뤄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자영업자의 정확한 소득

파악이 어렵다는 점이 꼽힌다.

국세청에서 자영업자의 손실 전과 후 부가가치세의 차이로 소득감소를 측정하려 해도 간이과

세자라는 명목으로 정작 어려운 자영업자들은 부가가치세를 온전히 내지를 않고 있어 파악할 수 없

는 상황이다.

(2020년 전체 개인사업자 7,565,364(100%), 일반사업자 4,608,083(60.9%), 간이사업자

1,712,585(22.6%), 면세사업자 1,244,696(16.5%))

이에 유경준 의원은 소득 파악의 어려움 때문에 현재 문재인 정부는 손실보상을 단순 매출증감으로

해주고 있지만,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할 뿐 제대로 된 소득이 파악되지 않으면 손실이 왜곡될 수밖에

없다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코로나 19로 배달량이 늘어서 매출은 증가했지만, 과도한 배달 플랫폼 비용으로 정작

실제 소득은 늘지 않은 치킨집의 경우 현재 손실보상에서 제외된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이후 개선 추이였던 전국민 개인기준 세전 소득의 불평등도는 코

로나 이후인 2020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영업자, 임금근로자 등 전체 취업자의 소득 5분위 배율 보면 201724.69, 2018

22.28, 201922.16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코로나 이후인 2020년에는 23.06으로 불평등이

심화됐다.

소득 5분위 배율: 5분위계층(최상위 20%)의 평균소득을 1분위계층(최하위 20%)의 평균소득으

로 나눈 값, 커질수록 불평등

특히, 코로나 이후 자영업자의 소득불평등도는 임금근로자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소득 5분위 배율'201737.54, 201837.64로 악화됐다가 201937.05로 개선되었지

, 코로나 이후인 2020년에는 39.45로 다시 증가했다.

임금근로자의 경우는 평균소득은 계속 증가했지만, 소득 불평등은 2019년부터 악화된 것으로 나타

났다.

실제로 임금근로자의 소득 5분위 배율은 201716.29에서 201814.16으로 개선되었다가, 2019

14.34, 202014.89로 소득 불평등이 악화추세로 전환됐다.

유경준 의원은 자영업자·소상공인 손실보상 대책은 새롭게 출범하는 정부와 국회가 머리를 맞대

고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또한, 유 의원은여기에 분석된 2020년에 비하여 코로나19의 피해가 더욱 집중된 2021년에는 자영

업자의 손실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 사회의 양극화도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먹구구식이 아닌 정확한 근거에 입각한 자영업자 손실보상을 위해 취약계층 소득(손실)파악체계

구축을 더욱 공고히 하여 양극화 해소를 위한 기반이 확립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광일 기자 kk050558@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