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청년혁신가들의 일상을 소개합니다!

  • 등록 2021.12.27 21:23:11
크게보기

- 청년혁신가 일상을 담은 ‘아무튼 청년’ 영상 제작,
- 도시재생, 귀농, 창업 분야의 대표 성공모델 소개,
- 경상남도 청년 정보플랫폼, 유튜브 청년특별도 후레쉬맨에서 공개

[경남/김영곤기자] 경상남도는 지역 청년활동가 성공 모델의 비결 및 경험 공유를 위하여 도내 청년혁신가의 일상을 보여주는 아무튼 청년’ 영상을 제작했다.

 

일상공유와 인터뷰로 구성된 아무튼 청년에서 소개된 경남 청년혁신가는 거제시 박은진(도시재생함안군 박재민(귀농통영시 정여울(창업)이다.

 

거제시에서 도시재생 분야로 활동하고 있는 박은진은 경남 창원 출생으로부산에서 행복마을 코디네이터 등 청년활동을 했다. “살고 싶은 동네에서 살았으면 하는 꿈이 있었고그런 동네를 찾기 어렵다면 내가 직접 만들어야겠다!”라는 생각으로 2014년 공유를위한창조 막내직원으로 입사하여 2017년 대표가 되었다.

 

2014년에 부산에서 창업한 공유를위한창조는 2019년 경남 거제로 와 장승포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커뮤니티 및 공유공간을 조성하고한달살기워케이션(휴가지 원격 근무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2021년에는 행정안전부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사업에 아웃도어 아일랜드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두었다.

 

함안군에서 함안농부협동조합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박재민은 아내와 서울 소재의 대기업 호텔 요리사로 근무했다첫째를 임신했을 때, “가족들과 모여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있을까?”라는 생각에 2012년 함안군으로 귀농하여 2013년 첫째 아들을, 2015년 둘째 딸을 낳았다전직 요리사라는 직업을 살려 재배한 농산물을 활용한 밀키트(바로 요리 세트)를 제작하여 판매하고빵 만들기 클래스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빵 만들기 클래스는 청년 친화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1월 한 달간 총 12회를 진행했다클래스를 참여한 많은 청년들은 오롯이 나를 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계속 클래스를 진행해 달라는 소감을 남겼다.

 

통영시에서 수산물 가공식품 창업을 한 정여울은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란 서울토박이다. 5년 전일본여행 시 편의점에서 문어숙회를 판매하는 것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싱싱한 수산물로 만들어봐야겠다라는 생각으로 아무런 연고도 없이 통영시에 웰피쉬를 창업했다.

 

현재 웰피쉬는 통영시에 본사를 두고 서울시에 지사 2곳을 두고 있으며, 2020년 9월 출자기관과 투자처가 모두 동일 지역으로 구성되는 사회적가치 투자펀드인 하모펀드(경남 청년임팩트 투자펀드)의 투자를 받고 있다정여울은 전 세계 바다가 있는 곳은 어디든지 웰피쉬의 제품을 만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며 수산물 활용 간편식을 개발해 장어 등 통영 수산물을 활용하여 지역 수산물 브랜드화에 앞장서고 있다.

 

경남 청년혁신가들의 일상이 담긴 아무튼 청년’ 영상은 경상남도 청년 정보플랫폼과 유튜브 청년특별도 후레쉬맨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해당 영상은 2021년 청년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지원사업에 선정된 청년기업 콘텐츠잇다가 참여해 제작했다.

 

김상원 경남도 청년정책추진단장은 지속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도내 청년혁신가를 발굴하여 청년 감수성을 반영한 청년공감형 콘텐츠로 지역 청년활동 성공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면서, “청년혁신가 사례를 보고 경남으로 돌아오는 청년경남에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을 키우는 청년이 더 많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김영곤 기자 young336933@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