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통선 이북지역, 국립공원 수준의 다양한 생물종 서식

2021.06.17 14:12:52

◇ 민통선 이북지역 생태계 조사결과(2015~2020년), 멸종위기종 44종을 포함한 4,315종의 생물종 서식 확인
◇ 국토면적의 1.13%를 차지하나 우리나라 전체 생물종의 16.1% 분포
◇ 멸종위기종 두루미·재두루미·사향노루·버들가지 민북지역에서만 서식 확인

[한국방송/박기문기자]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이하 민북지역*)생물다양성

전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민북지역에서 실시한 생태계 조사결과를 공개했

.

* 민통선으로부터 비무장지대(DMZ) 남방한계선까지의 지역(1,133)

 

이번 조사는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에서 주관했으며, 민북지역을 동부해안 등 5개 권역* 39개 조사

경로**로 구분하고, 매년 1 권역을 대상으로 지형, 식생, ·식물 등 10개 분야***를 계절별로 조사해 분

석했다.

* 동부해안(‘15, 인제/고성), 동부산악(‘16, 양구), 서부평야(‘17, 철원/연천), 중부산악(’18, 철원/화천), 서부임진강

하구(‘19-’20, 파주/연천)

** 군작전로 등 군부대 협조를 통해 안전이 확보된 조사경로(20km 이내) 설정

*** 지형식생식물포유류조류양서파충류육상곤충어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거미

 

민북지역의 특성상 담당 연구진의 안전이 확보된 경로를 중심으로 조사가 이뤄졌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

과 같다.

 

민북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44종을 포함해 총 4,315종으로 확인됐다.

 

분류군별 확인된 종(괄호안 멸종위기종 수)은 식물 1,126(2), 포유류 24(6), 조류 145(17), 양서·

파충류 29(5), 육상곤충 2,283(4), 어류 81(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334(4), 거미 293(0)이며, 양서

·파충류의 경우 국내 서식하는 54종 중 29*(53.7%), 어류는 213종 중 81** (38%)이 이번 민북지역 조사에

서 관찰됐다.

* 구렁이, 금개구리, 남생이, 맹꽁이, 표범장지뱀 등

** 가는돌고기, 꾸구리, 다묵장어, 돌상어, 버들가지, 한둑중개 등

 

민북지역(1,133)은 국토면적(100,413)1.13%를 차지하나 생물종 분포는 우리나라 전체 생물종

(26,814)16.1%를 차지했으며, 1면적 당 생물종의 수*를 비교한 결과 보호지역인 국립공원과 유사

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민북지역) 서부임진강하구(11.6), 서부평야(13.7), 중부산악(6.7), 동부산악(5.2), 동부해안(6.1), (국립공원) 설악

(5.0), 속리산(5.5), 지리산(6.4), 덕유산(8.8), 오대산(7.4), 월악산(10.1)


멸종위기 야생생물 44종 중 두루미 및 재두루미, 사향노루, 버들가지는 각종 조사 결과를 확인한 결과, 현재 

민북지역에서만 서식하거나 또는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루미 및 재두루미) 전국에 국지적으로 분포했으나 현재는 민북지역(철원·연천·파주)에서 대부분(98%이상

월동

(사향노루) ‘90년대까지 지리산, 대암산 등에 서식, 현재는 양구, 화천 일대 등 민북지역에만 서식

(버들가지) 고성군 고진동, 오소동 및 동해안 독립하천 등 민북지역에서만 서식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인 두루미와 급인 재두루미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전 세계 생존개체수의 약 

50%*가 철원평야를 중심으로 연천, 파주를 월동지로 이용하고 있다. 이 지역은 먹이자원이 풍부한 농

경지와 휴식지로 활용 가능한 하천, 저수지가 넓게 분포하여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두루미) 전 세계 2,8003,300여 개체 중 1,600여 개체, (재두루미) 6,2006,500여 개체 중 

5,700여 개체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인 산양과 사향노루는 강원도 화천, 양구, 고성의 산악 암반지대에서 서식이 확인되

었으며 야간에 산등성이에서 내려와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인 버들가지는 우리나라 최북단인 고성군 남강 상류, 지경천 등 제한된 하천 또는 산간 

계곡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냉수성 물고기로 서식 범위가 매우 좁은 것으로 확인됐다.

 

5개 권역의 생물종을 비교한 결과, 파주·철원·연천 등의 서부지역이 양구·인제·고성 등의 동부지역보다 생물

종다양성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부평야(철원·연천) 2,409, 중부산악(철원·화천) 2,066, 서부임진강하구(파주·연천) 1,843, 동부해

(인제·고성) 1,401, 동부산악(양구) 1,350종 순으로 생물종이 다양했으며, 이는 서부지역이 산림,

천 및 농경지 등 다양한 서식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평가됐다.

 

5개 권역의 39개 조사경로를 대상으로 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을 평가* 결과 철원 토교, 화천 고둔골 경로 등 

12개 경로**우수점수를 받아 상대적으로 보호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 지형·식생·종다양성·멸종위기종·한반도고유종·서식지다양성·서식지분포·인간간섭 등 15개 지표를 활용하여 

우수(보호가치 높음)‘, ‘양호(보호 고려)’, ‘미흡(보호가치 낮음)’으로 평가

** 고둔골(화천), 토교(철원), 큰까치봉·오소동(고성), 지경천(고성), 두현리(연천), 동파리(파주), 빙애(연천), 

성제산(철원), 이길리(철원), 비운이(화천), 덕현골(연천), 북삼리(연천)

 

철원의 토교 경로는 두루미·흰꼬리수리·새호리기·벌매 등 다수의 멸종위기종 조류가 서식하고 생물종다양성

이 풍부(1,202)하며, 화천의 고둔골 경로는 지형·멸종위기종 등 11개 지표에서 으로 평가되고, 사향

노루와 산양이 서식하여 보호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아울러 12개 생태계 우수 경로 중 화천 고둔골 등 6개 경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등으로 향후 개발 가능

성이 높아 생태계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 고둔골(화천), 토교(철원), 지경천(고성), 두현리(연천), 빙애(연천), 성제산(철원)

 

화천의 고둔골 경로는 사향노루와 산양의 서식지이나 백암산 일대 케이블카 등 인위적 교란이 증가하

고 있으며, 철원의 토교 경로는 두루미의 핵심 서식지 보호 등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의 지경천 경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인 버들가지, 한둑중개, 물장군의 서식이 하천교란으로 위협

을 받고 있으며, 연천의 두현리 경로는 하상교란으로 인한 모래하천(사미천)의 훼손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천의 빙애 경로는 다양한 하천지형(사력퇴적지, 여울, )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인 가는돌

고기, 꾸구리, 돌상어 등을 위해 인근 군남댐의 효율적인 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원의 성제산 경로는 이 지역 전술도로의 절개사면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인 분홍장구채

(멸종) 집단서식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홍정섭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민북지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 생태계 조사가 처음으로 이루어

진 만큼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계부처, 지자체, 전문가 등과 협력하여 민북지역에 대한 생태

계 보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제2차 비무장지대(DMZ) 및 민북지역 생태계 조사(20212026)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

라고 밝혔다



참고 : 민통선 이북지역 생태계 조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 사진

          

          

          

          



참고 : 보호가치가 높은 경로(지역)의 전경사진

 

         

         

         

박기문 기자 pgm0113@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