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청장 박광석)은 최근 북극발 한파로 인해 새해 1월 9일(토) 한강이 결빙 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6일(수)부터 서울 일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고 낮 기온도 영하에 머무르는 추위가 지속되면서 오늘(1월 9
일) 아침, 이번 겨울 들어 처음 한강 결빙이 관측되었다.
이번 겨울 한강 결빙은 평년(1월 13일)보다 4일 빠르게 나타났으며, 작년(2019년) 겨울에는 예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인해 한강이 얼
지 않았다.
서울 | 1.4.(월) | 1.5.(화) | 1.6.(수) | 1.7.(목) | 1.8.(금) | 1.9.(토) |
일 최저기온 | -8.4℃ | -9.9℃ | -12.0℃ | -16.5℃ | -18.6℃ | -16.6℃ |
일 최고기온 | 0.3℃ | -2.1℃ | -1.9℃ | -8.4℃ | -10.7℃ | - |
한강의 결빙 관측은 1906년 시작되었으며, 노량진 현 한강대교 부근에서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한강대교 두 번째 및 네 번째 교각 상류 100m 부근의 띠 모양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을 때 결빙으로 판단
한다.
1906년 노량진(당시 노들나루)은 한강 주요 나루 가운데 하나로, 관측을 위해 접근하는 데 가장 적합했기 때문에 관측 기준 지점으
로 선정되었다.
한강 결빙은 1906년 관측 이래 1934년 12월 4일이 가장 빨랐고, 1964년 2월 13일이 가장 늦었으며, 관측되지 않은 해
는 8차례(1960, 1971, 1972, 1978, 1988, 1991, 2006, 2019)가 있었다.
한강 결빙 | |
가장 빨랐던 해 | 1934년 12월 4일 |
가장 늦었던 해 | 1964년 2월 13일 |
관측되지 않은 해 | 8회(1960, 1971, 1972, 1978, 1988, 1991, 2006,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