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김주창기자]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의원(전북 군산)이 18일 KBS전주 제1라디오 <패트롤 전북>에 출연하여 추진되고 있는 전북새만금특별자치도 설치와 관련해서 “중요한 것은 특별자치도의 명칭보다 자치권 확대와 국비예산지원이 함께 이뤄져 도민의 실익으로 돌아가는 것”이라 강조했다. 특히 “현재 강원특별자치도는 국비예산지원와 자치권 확대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만금특별자치도 법안의 국회 통과와 관련해서 “수도권에 대항해 지역 내 경쟁력을 키우는 차원에서 시작된 것이 부울경 메가시티”라며 “전북·강원·제주는 메가시티에 들어가지 못해 전북 독자로 하는 ‘강소메가시티’가 논의됐으나 최근 강원특별자치도가 통과됨에 따라 전북새만금특별자치도 이슈가 돌출됐다”고 진단했다. 더불어 “창원시가 마산·창원·진해를 통합시키며 갈등구조를 없애고 지역의 건설적인 미래 논의를 진행 중인 것처럼 전북도 지자체 간 갈등과 분열을 넘어 상생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내년도 예산확보와 관련해서는 “결국 국회 예결 소위원회가 권한이 큰데 전북의원 중 한 명이 배정받도록 논의 중”이라며 “여야 최종담판을 각 원내지도부에서 결정하는데 전북 출신 진성준 의원이 원내 수석을 맡고 있어 역할을 해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최고위원 출마가 지역발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며 “지역발전을 위해선 당내 최고위원보다 국회 상임위 내 간사 등 역할을 맡는 것이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밝혔다. 이어 “도세가 약한 지역에선 중앙정치보다 지역 중심 활동하는 것이 실익이 크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북의원의 민주당 전당대회 불출마와 관련해서 “호남은 민주당 강세지역이나 수도권보다 유권자와 권리당원이 상대적으로 적어 호남 단일후보를 내는 흐름을 만들었지만 그럼에도 최고위원에 당선되지 못했다”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권역별 최고위원제를 도입하려했으나 결국 친명, 반명의 구도 속에서 반영되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신 의원은 “민주당 공천 시마다 호남 물갈이론으로 중진 의원으로 성장할 수 없는 구조”라며 당내 취약 부분을 지적하고 “차기 전대에선 저를 포함한 전북의원이 출마 등을 고려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자원봉사센터의 선거개입 의혹에 관련해서 “이런 무의미한 짓을 왜 하는지 의문스럽다”며 “자원봉사센터의 잘못된 행태는 수사를 통해 관련자 조치가 필요하고, 공공기관의 당원 모집은 경선이 여론조사 권리당원 투표로 진행되다 보니 당과 지역을 넘어 전국적으로 비일비재하다”고 송구스러운 마음을 전했다. 이에 “법률 처벌 수위를 강화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