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자 맞춤형 대학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 등록 2016.04.28 15:11:06
크게보기

대학 창업지원모델 정립, 원스톱 창업상담창구 설치


(한국방송뉴스(주)) 그간 정부·대학 등 공급자 위주로 제공되어온 창업지원 서비스를, 대학(원)생·졸업자 등 창업 수요자의 준비상태 및 역량 등에 따라 체계화하고 맞춤형으로 지원한다고 교육부가 밝혔다.

교육부와 중소기업청은 지난 27일(수) 부처합동으로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방안'을 발표했으며, 동 대책의 핵심 정책과제중 하나로서 “대학 창업지원 체계화”를 올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학은 교수·석박사 등 우수한 인력과 연구장비, 특허 등 지식재산 등이 집적되어있는 “창업의 요람”으로서, 정부는 ‘창조형 청년창업가 발굴·양성’을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교육부),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중기청) 등을 통해, 대학의 창업지원 역량 제고를 위한 창업교육 및 사업화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다.

대학과 정부의 노력이 맞물려, 지난 2013년 이후 학생창업의 원천인 창업동아리 수가 233.1% 증가했고, 창업휴학제도 등 창업친화적 학사제도 도입 대학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대학재학생이나 석박사 과정 등 대학원생, 졸업후 사회경험이 있는 창업준비자 등 다양한 창업 수요(needs)를 고려한 창업교육 및 지원체계가 미흡했고, 창업에서 차지하는 대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창업지원서비스가 일부 정부사업 참여대학에 국한되어 제공하는 한계도 존재했다.

이에, 교육부는 창업선도대학 운영 등을 통해 축적된 우수한 창업지원제도 및 사례들을 종합하여, 수요자의 입장에서 대학의 바람직한 창업지원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번에 교육부와 중기청이 함께 마련한 주요 대책을 살펴보면, 첫째 '대학 창업지원 모델'을 정립 및 확산한다.

현재 우수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산업기술대·인덕대 등 창업선도대학 우수사례를 종합하여, 바람직한 “대학 창업지원모델”을 정립·확산할 계획이다.

둘째, 대학(원)생 등의 창업 접근성을 제고한다.

대학재학생 및 대학원생 등이 창업에 뜻을 두는 경우, 대학이 제공하는 창업지원제도 및 프로그램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정보전달 통로도 마련할 계획이다.

셋째, 대학내 창업지원 역량을 제고한다.

대학이 발굴·양성하는 창업기업의 도약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판로·자금·수출 등 유관지원기관과 업무협약을 통해 공동 육성(교육부-미래부 협업)한다.

아울러, 대학적립금 등을 활용한 “(가칭)대학창업펀드”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중소기업 모태펀드’ 내에 별도의 계정 설치 및 매칭 출자를 추진할 예정(교육부-중기청 협업)이다.

정부는 위와 같은 대학 내 창업지원 전달체계 혁신을 통해, 그간 대학 내에 축적되어 있는 창업지원 제도 및 인프라가 보다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서비스 될 것으로 내다 봤으며, 아울러,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전국 100여개 대학에 “원스톱 창업상담창구”가 설치되어, 창업을 하고 싶은 사람이지원제도와 정책을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빠르게 감소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전했다.
안예지 기자 mild127@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