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길의원, <긴급벌채 규제 개혁법> 대표발의

  • 등록 2022.08.17 15:03:59
크게보기

동해안 지역 대형 산불 피해목 방치 시 산사태 등 2차 피해 발생 우려 -
- 산주 소재지 파악 어려움으로 산림청 긴급 벌채 완료율 0.7% 불과 -
안병길 의원 “국민 생명 지키는데 장애물되는 현행법 개정 시급” -

[한국방송/김국현기자]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 국회 농해수위)17(), 긴급 벌채 지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일부개정법률안, 일명 긴급벌채 규제 개혁법을 대표발의했다.
 
올해 3월 강원도 및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2만 헥타르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했는데, 고사한 피해목들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집중 호우 시 산사태와 같은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벌채와 조림사업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지난 12일 안병길 의원실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긴급 벌채가 필요한 전체 면적 1,198.6ha 중 벌채가 완료된 면적은 8.1ha로 전체의 0.7%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긴급 벌채 진행 현황 (2022.8.12. 산림청 제출자료)>
 

시군

벌채 필요 면적

벌채 완료 면적

완료율

비고

합계

1,198.6ha

8.1ha

0.7%

 

울진군

749.3ha

-

-

사업 설계 중

동해시

300.1ha

7.2ha

2.4%

 

삼척시

81.6ha

0.9ha

1.1%

 

강릉시

67.1ha

-

-

사업 설계 중

영월군

0.5ha

-

-

사업 설계 중


긴급 벌채가 지연되는 주요 원인은 긴급 벌채에 필요한 산주 동의 과정이 현행법상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법상에서는 산림청이 긴급 벌채를 위해 산주의 실거주지를 파악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한계로 인해, 대다수의 산주동의서가 반송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미거주 산주 비율 (2022.8.12. 산림청 제출자료)>
전국평균 56.1%, 경북평균 62.5%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병길 의원은 산림청이 긴급 벌채시 산주의 실제 거주지와 휴대전화번호 등 실제 필요한 개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아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행정안전부 지방세통합정보통신망 등과 산림청 사유림업무지원 포털을 연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긴급 벌채 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 국회 농해수위)규제 개혁은 경제 뿐 아니라 국가가 국민 생명을 지켜야 하는 부분에서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긴급벌채 규제 개혁법이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한 규제 개혁 노력의 일환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국현 기자 kkh11112003@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