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입주민과 함께하는 현미경 품질점검 실시

  • 등록 2021.12.30 12:21:03
크게보기

-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2021년 공동주택 26개 단지‧17,034세대 점검,
- 꼼꼼한 품질점검으로 1,191건 지적해 조치 추진,
- 건설기술발전 위한 우수사례 141건 발굴해 전파,
- 안전사고 예방, 하자 예방 등 아파트 품질 개선 확산에 기여

[경남/김영곤기자] 경상남도는 주택법 개정으로 2021년 1월부터 본격 시행된 경남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의 올해 운영 결과를 발표하였다.

 

공동주택 품질점검단은 주택·시공 전문가들이 사용검사 전까지 현장점검 등을 통해 공동주택의 시공품질을 점검·관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검사권자인 시장·군수에게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품질점검단 역할은 공동주택 품질을 점검하여 사업계획의 내용에 적합한 공동주택이 건설되도록 하며시장군수에게 하자 판단 여부를 자문한다.

 

주택법에서는 사용검사 전에 품질점검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경남도에서는 골조가 제대로 시공되어야 층간소음결로누수에 대한 하자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판단해 골조시공 중(1), 골조완료 후(2), 사용검사 전에 최종 점검(3)을 해 아파트 건설 기간 중 총 3회의 품질점검을 한다품질점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교차점검을 추진하고 있으며, 13차 품질점검은 경남도에서, 2차는 시장군수가 맡고 있다.

 

경남도는 올해 2월부터 교통 분야를 추가하여 건축구조토목조경전기통신기계소방 9개 분야 전문가 97명을 구성하여 공동주택 현장점검을 하였다. 26개 단지, 17,034세대에 품질점검을 실시하였으며시공불량안전관리유지관리 방안 제시 및 권고 등 1,191건을 지적하여 보수보강이 이루어지도록 시장·군수 및 사업시행자가 조치하도록 하였다.

 

특히 올해 처음 도입한 교통분야는 입주예정자들이 가장 관심이 많은 분야로입주민과 함께 교통안전 시설물 점검어린이 통학로 안전 확인 및 지하주차장을 동행하면서 점검해 입주예정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주요 지적사항으로 골조시공 중에는 ▲ 콘크리트 균열 및 지하층 벽체 누수 발생 ▲ 철근 배근 정착 길이 불량 ▲ 결로 방지 단열재 시공 불량 ▲ 흙막이 가시설 붕괴 위험 ▲ 기초 철근 보양 미흡 등이 있다.

 

사용검사 전 품질점검 지적에는 ▲ 도배들뜸미장박리가구파손 등 마감 불량 ▲ 어린이장애인등을 위한 보행 장애물 제거 ▲ 고사목 제거 및 고사목 식재 계획 수립 ▲ 안내판반사경횡단보도 설치 등 교통안전 시설물 추가 설치 ▲ 유지관리를 위한 각종 배관 명칭 및 유량 표시 등이 있었다.

 

또한견실시공 및 건설기술발전을 위한 우수사례를 141건 발굴하였다단열페인트 3회 시공으로 결로 방지와 에너지 절약 시설물 설치 및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채움재 시공지하주차장 채광 및 친환경 환기시설 시공 우수 등을 선정했으며선정된 우수사례는 시군 통보 및 경상남도 공동주택관리 지원센터 누리집(https://house.gyeongnam.go.kr/index.gne)에 게재하여 전파하였다.

 

허동식 경남도 도시교통국장은 경상남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운영으로 아파트 건설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아파트 품질 개선 확산에 기여하였다, “내년에도 입주민들과 함께 품질점검을 실시하여 입주민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영곤 기자 young336933@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