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투기 파문부터 혁신안 나오기까지 LH 간부 19명 퇴직...

  • 등록 2021.08.17 17:46:19
크게보기

퇴직금 약 12억원 챙기고, 재취업 제한도 ‘프리’

[한국방송/김명성기자] 정부의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 조직개편안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LH 간부급 

직원의 퇴직 러시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김은혜의원LH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민단체인 참여연대가 LH 땅투기 의

혹을 제기(3.2)한 시점 이후 정부가 LH 혁신안을 내놓은 시점(6.7)까지 간부급 직원 총 19명이 퇴직 또는 

예퇴직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부적으로 상임이사가 1, 비상임이사 1, 그리고 고위직인 1·2급이 17명이

. 같은 기간, LH 퇴직자 총 64명의 30%를 차지하는데 조직 혁신에 솔선수범해야 할 고위급 직원들

의 책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직급

인원수()

퇴직금()

명예퇴직금()

비고()

상임이사

1

27,368,200

0

 

비상임이사

1

0

0

퇴직금 미지급

12

17

100,558,470

1,113,995,070

 

19

127,926,670

1,113,995,070

1,241,921,740

출처 : LH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닌 비상임이사를 제외한 이들에게는 퇴직금이 지되는데 상임이사에게는 2,737

만원이 지급됐으며, 1·2급 직원에게는 퇴직금과 명예퇴직금을 합해 총 124,192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확

인됐다. 1·2(간부급)의 경우, 1인당 평균 7,144만원을 수령해 간 셈이다.

 

퇴직 자체가 문제는 아니지만 시점이 묘하다. 해당 수치는 3~5월 사이 퇴직한 LH 간부들의 숫자인데, 올해 3

월은 참여연대가 LH 직원들의 땅 투기를 폭로한 시점이다. 이후 정부는 LH 혁신안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

, 지난 67일 해당 혁신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퇴직자 전관예우, 질 행위 등 고질적 악습 근절

원에서 간부급의 취업을 제한하기로 했다.

 

원래 상임이사나 비상임이사 등 임원 7명에게만 두던 제한을 1·2급 고위직까지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대상자는 모두 529명으로 늘어났는데, 당시 국토부 관계자는 이런 조치의 경우 아직 LH 개혁안이 통과되기 

전이지만 곧바로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를 감안했을 때 3~5월 사이 퇴직고위 간부들(1·2)은 이 대상

에서 자유로울 수밖에 없다. 퇴직금도 제대챙기고, 취업제한까지 받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혁

신안 조치 시행 이전이기 때문에 소급적용하기는 어렵다.

 

김은혜 의원은 정부가 LH 혁신 제도 정비에 몇 달을 우왕좌왕하는 사이 고위 임원들은 여전히 '제 살길

찾는 데 여념이 없었다고 지적하면서, "퇴직자 취업제한 대상에서 제외됐고 전관예우 관행을 도모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취업 심사를 강화한 공직자윤리법 시행령 개정안의 조속한 실행 등을 점검해 나갈 것

라고 밝혔다.

김명성 기자 kms4020@hanmail.net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